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감정성향과 철회행동의 관계, 그리고 인구통계적 변수들이 이들 관계를 조절하여주는지 살펴보는 것이 주목적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먼저, 긍정적 감정성향이 철회행동과 정적 관련성을 지닐 것으로 예측했던 결과와는 다르게, 오히려 철회행동 가운데 조기퇴근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감정성향은 예측했던 것처럼 철회행동과 대체로 정의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들이 감정성향과 철회행동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본 결과, 조절변수로 설정한 성별차이, 근속년수, 나이 등의 변수가 부정적 감정성향과 철회행동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성별차이는 특히 남성들의 경우에 있어 부정적 감정성향이 높은 경우 조기퇴근의 평균값이 높게 보여 졌으며, 나이의 경우에는 나이가 적고 부정적 감정성향이 높은 경우 나이가 많은 사람들보다 결근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근속년수의 경우에는 부정적 감정성향이 낮으면서 근속년수가 긴 경우보다 부정적 감정성향이 높고 근속년수가 긴 경우 조기퇴근 현상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근속년수의 경우는 집단간 차이가 보여지기는 하지만, 부정적 감정성향에 따른 조기퇴근의 직접적 영향이 더욱 크게 나타남으로 근속년수의 조절효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positional traits(positive affectivity and negative affectivity) and withdrawal behavior, and the moderating roles of employee's demographic variables in those relationship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78 workers in 3 large hospitals. This study measur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s demographic variables using the hierarchy regression approach(Cohen & Cohen, 1983).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regressions showed that negative affectivity strongly related to withdrawal behavior, but positive affectivity showed the opposite affection to withdrawal behavior than I had expected. Second, the sex difference in the employee's demographic variables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gative affectivity and early departure. The age variable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gative affectivity and absenteeism. The tenure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gative affectivity and early departure. These results suggests that negative affectivity shows more strong relationship than positive affectivity to the moderated variables and withdrawal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