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정보소구유형의 효과에 대한 국가문화와 개인적 특성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정보소구유형(속성 vs. 합의)에 대한 상표태도의 효과를 문화적 맥락 차원으로서 국가간 차이와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변수로서 불확실지향성, 자기감시성, 사전지식의 변수를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속성정보의 효과는 국가차원에서는 미국소비자들이, 그리고 불확실지향성이 높거나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고, 반면에 합의정보의 효과는 한국소비자, 그리고 불확실지향성이 낮거나 사전지식수준이 낮은 소비자들에게서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소구유형에 대한 이론 및 관리적 시사점들을 제안하였다.


The Pu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formation appeal types using experimental design in two countries(Korea and the U.S.) that are traditionally in the opposite side of cultural context. Based on in-depth analysis of theoretical concepts: national culture, uncertainty orientation, self-monitoring, prior knowledge, the author hypothesiz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appeal types in these concept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effect of attribute information led to more favorable attitudes for American, high uncertainty orientation and prior knowledge groups, while the effects of consensus information led to more favorable attitudes for Korean, low uncertainty orientation and prior knowledge groups. Finally, I discus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ith limitations and future study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