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직의 경쟁력제고를 위해서는 신입사원의 조직적응을 제고할 수 있는 조직사회화 전략이 필요하다. 신입사원은 기대수준이 높고 현실감각이 부족하여 입사충격(Hughes, 1958)또는 역할충격 (Van Maanen, 1976) 으로 인해 조직부적응현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신입사원의 조직사회화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입사원의 정보추구행동의 원천과 정보유형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정보의 원천(상사, 동료)과 정보유형(업무적 정보, 사회적 정보)이 조직사회화과정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업무적 정보, 사회적 정보를 결과변수는 조직사회화 정도를 측정하는 변수로 역할명학성, 성과효능감, 수용감, 사회적통합을 종속변수는 조직유효성 측정변수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조절변수로 피드백정보량을 나타내는 상사와 동료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년 이내의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조사대상의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64.3% 여성이 35.8%이며 연령은 34세 이하가 74.9%로 나타났다. 학력은 전문대졸이 39.0% 대졸이 31.7% 업종은 서비스업 40.2% 제조업이 28.2%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업무적 정보는 업무와 관련된 조직사회변수 즉, 성과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정보는 수용성, 사회적 통합에 영향을 미쳤으며 역할명확성은 사회적 정보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사, 동료들로부터 받은 피드백 정보량은 조절변수로써 역할을 나타내고 있다. 수용감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동료보다 상사로부터 받은 피드백 정보가 더 조절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trategy is emphasized in Organization Because newcomers who don't have enough sense of reality experience the entrance shock or role shock. Especially, the percentage of departure is high within 6 months. In this study, we're trying to prove the newcom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used as a socialization strategy in their organization. We have more attention to prove that sources of information (superior, colleague) and types of information (office, social information) ha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e consider independent variables to be office and social information, result variables to be role clarification, performance efficacy, feeling of acceptance, social integr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to be ,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these: First, Office information has effect on organizational social variable of performance efficacy and Social information does feeling of acceptance, social integration. Social information have more effect on role clarification than office information. Second, the amount of feedback with one's superior and colleague plays a role as a controlled variable. feeling of acceptance has no effects on controlled variable. Also it concluded that the feedback with one's superior rather than colleague is more eff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