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2008년 1월 1일에서 2010년 6월 30일 기간에 발생한 공매도 거래를 바탕으로 하여 공매도 거래의 동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기간을 공매도 제한 정책 전 기간, 실시 중인 기간, 공매도 제한 정책 해제 후 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 전일의 잔차분산을 정보적 공매도 동기의 대용치로, 전월의 주식수익률을 투기적 공매도 동기의 대용치로, 전일의 주식베타와 시장베이시스와 ELW를 차익적 또는 헤징적 공매도 동기로 이용하였다. 다양한 공매도 동기에 의해 공매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공매도 제한 전 기간에는 뚜렷한 공매도의 동기를 발견하기 어려웠으나 공매도 제한 정책이 해지된 이후 다양한 공매도의 거래동기가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금융당국이 금융정책을 시행함에 있어 충분한 논의를 바탕으로 시행해야 함을 보여준다. 즉, 공매도거래 제한 정책의 근거로 금융당국은 공매도 거래에 의한 시장불안을 이유로 하였다. 하지만 연구 결과는 공매도 제한 전 시기에는 사실상 투기적 공매도 거래 동기가 강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tivation of shortsale under the restriction of shortsale. This happened between October 1, 2008 and May 31, 2009.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of shortsale we consider three different periods: the before-restriction period that is between January 1, 2008 and September 30, 2008: the period of shortsale restriction that is between October 1 2008 and May 31, 2009: the after-restriction period that is between June 1, 2009 and June 30, 2010. We use the residual variance of stock return as informed motivation of shortsale trading; the previous month return of stock as speculative motivation of shortsale; stock beta and ELW as hedging and arbitrage motivation of shortsale trading. We did not find proper motivation for shortsale in the before-restriction period. However, we found several motivations for shortsale like informed motivation, speculative motivation, hedging motivation and arbitrage motivation. These evidences suggest that when Korean Financial Services Commision takes effect of any policy it needs to examine the rationale for the policy. That is, Korean Financial Services Commision said that they set up shortsale restriction policy because shortsale triggered a crisis in Korean stock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