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환경경영시스템의 구조적 특성을 다루었다. 산업의 고속 성장으로 인해 지구의 생태계가 심각하게 위협받게 됨에 따라 기업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경영의 기조를 이루고 있다. 환경경영에 대한 연구가 초기에는 품질경영의 일부분으로 다루어졌었지만 점차 환경 요소가 중심이 되는 환경경영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아직 환경경영의 정의와 범위에 대하여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표준이 없어서 환경경영에 대한 지식축적이 체계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그 원인은 기존 연구들이 환경경영을 품질경영의 확장된 개념으로 보기도 하였고, 혹은 품질경영과 유사하지만 독자적인 영역이 있는 개념으로 보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품질경영과 환경경영의 체계가 어떤 관계로 기업들이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174개 제조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지 응답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분석과 구조모형의 판별타당성 분석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품질경영시스템과 환경경영시스템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경영시스템이 체계적인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아 우리나라 기업들은 환경경영시스템을 품질경영시스템의 부분집합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환경경영의 연구에서 그시스템을 어떻게 정의하고 측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주고, 동시에 기업 실무적으로는 환경경영을 품질경영의 일환으로 추진하면서 상호 일관성을 유지하여야 함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s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threatens the ecological system of the globe, the efforts to minimize the impact of firms' activities on the environment becomes the core of many firm's management. The research in the early stage tended to consider environmental management as a part of quality management, but in the later stages environmental management gradually established its own field. However, it is the reality that there is no generally accepted standards on the definition and the scop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reason might be that some past research considered it as an extension of quality management, while others considered it as a different concept despite having largely common characteristics. Thus,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two management systems are related to each other. We collected the response data from 174 Korean manufacturers on the developed questionnaire. For the analyses the factor analysis method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test method were appl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atic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nagement systems can not be concluded, which implies that the firms consider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s a subset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This result contributes to the future research in that it clarifies how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should be defined and measured. Also, this study gives the implication to firms that environmental management must be performed as a part of quality management in the consistent manner with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