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Knowledge hiding behavior is a relatively new concept referring to employees’ intentional withholding of knowledge even when requested to disclose. It is conceptually different from lack of knowledge sharing in the sense that knowledge sharing is not necessarily preceded by a request to share knowledge, and involved with an intention to hide it. Knowledge hiding behavior consists of three sub-dimensions of playing dumb, evasive hiding and rationalized hiding. Although knowledge hiding behavior frequently occurs in organizations and potentially harms the performance of a work unit, we have a limited understanding on what causes knowledge hiding behavior. In this regard,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antecedents of knowledge hiding behavior. In so doing, the present study examined both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Specifically, we predicted that employees who perceive a lower level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and a higher level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re likely to engage in knowledge hiding behavior more. In addition, employees with low equity sensitivity and low prosocial motivation were also anticipated to hide knowledg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antecedents were also proposed. Using a survey of 321 employees, we found a positiv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nd negative effects of equity sensitivity and prosocial motivation on knowledge hiding. The main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was not significant. Additionally, equity sensitivity moderated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and politics, but in different direct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rectly and directly corroborate several psychological motives of knowledge hiding behavior. Managers of organizations where knowledge management is particularly important are recommended to pay attention to foster less political atmosphere and recruit employees with high equity sensitivity and prosocial motivation.


지식경영이 기업의 중요한 화두로 등장함에 따라 학자들은 지식공유 혹은 공유의 부재와 같은 종업원 행동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이러한 관심의 일환으로 최근 지식숨김 행동(knowledge hiding behavior)이라는 개념이 새로이 학계에 도입되었다. 지식숨김 행동은 지식을 공유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종업원이 의도적으로 그 지식을 공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지식숨김 행동은 지식공유에 대한 타인의 요청이 반드시 선행한다는 점, 그리고 행위자가 의도적으로 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지식공유 행동의 부재와는 개념적으로 다르다. 지식숨김 행동은 바보처럼 굴기(playing dumb), 회피하며 숨기기(evasive hiding), 합리화하며 숨기기(rationalized hiding)라는 세 가지 하위 차원으로 나뉜다. 지식숨김 행위가 실제 조직에서 매우 빈번히 발생하며, 해당 작업단위의 수행과 성과를 현저히 방해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엇이 지식숨김 행위를 야기하는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즉 종업원들이 어떤 조직적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지식을 숨기는지, 또 어떠한 성향의 종업원들이 특히 더 그러한 행동 특성을 보이는지에 대한 학문적 이해가 아직 초보적인 상황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식숨김 행동의 선행요인을 조직수준과 개인수준에서 찾아보고 그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먼저 조직수준에서는 지식공유 요청자와 지식숨김 행위자 간의 대인관계의 성격을 규정하는 조직의 풍토에 초점을 맞추어, 낮은 조직공정성 지각과 높은 조직정치 지각이 지식숨김 행동을 야기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개인수준에서는 낮은 공정성민감도와 친사회적 동기라는 개인적 성향이 지식숨김 행동을 야기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조직수준의 선행요인이 지식숨김 행동에 미치는 주효과를 개인수준 선행요인이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위에 설명한 연구 모형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다양한 직종과 조직에 근무하는 321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예상했던 대로 조직수준에서는 높은 지각된 조직정치가, 그리고 개인수준에서는 낮은 공정성민감도와 친사회적 동기가 지식숨김 행동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과 달리 조직공정성은 지식숨김 행동에 대한 직접적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공정성민감도는 조직공정성과 조직정치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가졌으나 그 효과의 방향은 각기 상이하였다. 이에 대한 상세한 해석을 5장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식숨김 행동에 여러 심리학적 기제가 작용하고 있음을 직,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종업원들 간의 원활한 지식공유가 특히 중요한 조직의 관리자들은 가급적 정치적이지 않은 조직문화를 배양하고 공정성민감도나 친사회적 동기가 높은 종업원을 선발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