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Purpose - It has been argued that intrinsic motivation is an important driver of employee attitud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conceptual model that exceptionally integrates psychological empower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individual creativity. Specifically, present study clarified why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and when (extrinsic rewards)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creativity.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ree factors conditioning 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relationship with coworker, compensation and job security.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study was administered on 217 employees belonging to five public service oriented organizations in Ulaanbaatar, Mongolia. The data was analyzed by Smart PLS 2.0. Findings - The study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meaning and creativity, (b) self-determination and creativity, and (c) impact and creativity, except the (d) competence and creativity.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even though the three conditional factors interact with intrinsic motivation. The leverage of intrinsic motivation on employee creativity was only enhanced by compensation. This study integrated different perspective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provides important insights into the mechanisms linking empowerment and creativity. Research limitations/implications - The study explored how psychological empowerment may affect the employee creativity from the intrinsic motivation perspective, while future researches should incorporate other mediating or even moderating variables. Practical implications -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investigating the medical service employee’s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also examining the comparativ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on employee’s creativit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구의 목적 - 동기부여 분야의 학자들은 내적 동기부여가 직원 태도 형성의 중요한 동인이라고 주장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임파워먼트, 내적 동기부여와 개인의 창의성을 통합적인 개념 모델로 수립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원들의 창의성과 “왜” (내적 동기를 통해) 그리고 “언제” (외재적 보상과 상호작하여) 정적인 관계를 맺는지를 밝혔다. 또한, 이 연구는 직원들의 내적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요소인 동료와의 관계, 보상, 고용 보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방법 - 이 연구는 몽골, 울란바토르에 있는 다섯 개의 공공기관에 속한 217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데이터 분석은 Smart PLS 2.0을 사용했다. 연구의 결과 - 연구 결과에 따르면, (a) 의미/meaning/와 창의성, (b) 자기결정 /self-determination/과 창의성, 및 (c) 충격 /impact/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내적 동기부여의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내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는 능력 /competence/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 연구에서 세 가지 요소들이 (동료와의 관계, 보상, 고용 보장) 모두 내적 동기부여와 상호작용하나, 그 중 보상만이 내적 동기부여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서로 다른 관점을 통합하고 임파워먼트와 창의성을 연결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연구의 한계점/시사점 - 이 연구는 내적 동기부여의 관점에서 심리적 임파워컨트가 직원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했으며 향후 연구는 다른 매개 변수 또는 다른 조절 변수를 통합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실무적 시사점 - 또한 본 연구는 직원의 창의성에 대한 내적 동기부여의 직접과 상호작용 효과를 조사했으며, 공공의료기관에서 일하는 인력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대한 조사에 기여 하려고 한다. 연구결과의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함의와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 역시 자세히 논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