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 고용불안정성이 가중되는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최근 고용가능성 연구 흐름은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성취하기 위해 유연성과 적응력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또한 대학생들은 자신의 직업 및 진로를 선정하는데 있어 성장욕구와 자아실현이 가능한 기회를 제공하는 직업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한 역량과 특징이 창업의도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특히, 창업자의 인지적 특성인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바 이들의 매개역할과 이중매개효과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경인지역 대학생 총 220명을 대상으로 한 고용가능성,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창업의도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보다 정확하다고 알려진 Bootstrapping 방법 중 하나인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고용가능성은 창업의도,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선행연구 결과와 같이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 사이에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두 요인의 이중매개효과 모두 유의미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고용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의 경우 경력관리와 인지심리학의 기대이론으로 창업의도 행동을 접근해야 함을 도출하였다. 즉, 평생교육과 같은 장기적 관점에서 성장과 지속 경제 활동을 위한 동기부여로서 자율적 자기관리 훈련이 되는 셀프리더십과 이를 통한 자기효능감의 강화는 창업활성화를 위한 창업교육에서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 global economic depression that gives rise to further employment instability. The latest stud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of employability suggest that both of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are important factors to achieve the sustainable competitiveness on knowledge and skill. Therefor, it is necessary to learn about entrepreneurial competence such as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Meanwhile, undergraduate students then to prefer the job which is expected to provide enough opportunity for intrinsic growth desire and feasibility when making a choice of their job. Therefore, expectancy for intrinsic worth and employment instability will propose start-up as charming career that is bringing implement of desire for independent and self-development. So, it need for empirical study to identify mechanism about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highly employability that has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that note, an exploratory study on undergraduate student is attempting to single mediation (M) and double mediation (DM)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as recognition of an entrepreneurial trait of entrepreneur. <Figure 1> shows the research model. To do that, 220 students in various universities filled out surveys and research to relate employability, self-leadership,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int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a bootstrapping method that is known to be a more accurate mediation method than the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As the result of analysis, employability significantly affe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lso had positive influence as in prior findings.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were valid in mediating role with double medi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employ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rom these results, when approaching to entrepreneurial 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ve an employability, we should have the view point of cognitive psychological expectancy theory and career management. In other words, from the long term perspectives, it is highly important to build up Self-leadership (Self-regulating training) and Self-efficacy through the Self-leadership for the sustainable economic activity and growth. On the basis of the result, this finding provides theor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related to start-up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