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의 효과적인고용정책을 위한 캠페인 제안을 위해 첫째연령대별 개인의 삶에 대한 인식 및 행동에대한 조사를 통한 연령대별 성향 분석, 둘째중ㆍ고령자의 노동에 대한 연령대별 인식차이 분석, 그리고 근로에 대한 연령대별 인식 차이 분석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의 효율적인 고용정책의 수행을 위한 세대별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방향을논의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은 서울지역600명을 대상으로 2006년 10월에 실시하였고, 연령설정은 5개 연령층(20, 30, 40, 50, 60대 이상)으로 구분하여 각 연령대별 120명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응답자 612명중 25명의 부실한 응답을 제외하여 자료분석에 사용된 응답자는 총 587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삶의 욕구에 대한 연령대별 인식 차이에서 모든 연령대가 기본욕구 단계보다는 사회적 성공이나 자아실현의 욕구 단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욕구의 정도가 욕구단계가 올라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대별 인식차이를 보니, 사람들은 일하는데 있어서 나이를중요한 변수로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ㆍ고령자의 서비스직 종사에대한 연령대별 인식차이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50, 60대의 서비스직 종사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로 가치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나이가 들수록 노동에서 얻는 물리적, 심리적가치에 대해 더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며, 특히, 40대, 50대, 60세 이상이 20대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더 차이를 두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층이 높아 질수록 안정적인 직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연령대에서 60대 이후의 노동환경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study the issu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for employment policies in the aging society. It analyzed each age category’s views and behaviors on individual life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age category’s point of view about labor and especially labor of the old.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in October,2006 for 600 people in Seoul, and the age group is divided from twenties to sixties conducting each group of 120 people. The total respondents used for this study are 587people excepting 25 respondents of poor answers among 612 respondents of the total.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ing: Regarding the aspects on the cognitive differences of age group, all age groups think career success or self-realization in a hierarchy of needs are more important than basic needs, and the degree of needs is much higher as a hierarchy of needs goes up. Regarding the aspects on the cognitive differences of age group between age and occupation, people do not consider age important. Related to the aspects on the cognitive differences of age group about middle and old age engaged in a service industry,there is negative perception about fifties and sixties engaged in a service industry. Finall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values with ages in the cognition on the value of work. Especially, forties, fifties and sixties think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ing to twenties. Besides,preference for stable occupation is high as people gets older, and also all age groups consider working condition after their sixties negative. Sugges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for accomplishing the effective employment policy in aging society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