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부부간 의사소통은 결혼 기간이 축적될수록 ‘공유된 경험세계’가 상대적으로 많은 반면 ‘친밀성’으로 인해 다양한 의사소통 문제들이 창출되는 산실이기도 하다. 따라서 부부간 의사소통은 표면적으로 매우 용이한 의사소통 상황으로 비추어질 수 있지만 심층적으로 살펴보면 다양한 대인 커뮤니케이션(interpersonal communication)의 문제가 산재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부부간 의사소통 행태를 각 세대별로 나누어 그 특성을 탐색해보고, 결혼생활이 축적됨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부부간 의사소통 행태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대, 30대, 40대, 50대 부부, 즉 연령 동기자 그룹을 대상으로 대인 커뮤니케이션과정의 5가지 차원-개방적 태도 차원, 문제 해결 차원, 의사표현 차원, 경청(傾聽) 차원, 피드백 차원에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부부간 의사소통 행위의 특성이 각 세대별로 파악 되었으며, 다시 의사 종단 분석을 통하여 개방적 태도 차원, 문제 해결 차원, 의사 표현 차원, 경청 차원, 피드백 차원의 부부간 의사소통 행위가 변천하는 과정을 추적해볼 수 있었다.


Human communication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good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is a key to a healthy marriage. Although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tself cannot “fix” all problems in one’s marriage, the importance of good communication in a marital-relationship cannot be overstated. Regardless of its importance, the communication behavior between husbands and wives as a research topic has been paid little attention by human communication scholars in Korea. Because of the “intimacy” Korean couples who have been influenced with the long tradition of Confucius culture tend to overlook the communicative problems in a marital-relationship. Yet, it is “the belief” of the intimacy that creates much of the communicative problems in a marriage.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al process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 between Korean husbands and wives among generations. Married couples in their 20’s, 30’s, 40’s, and 50’s were surveyed with five level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rocess-open attitudes, problem-solving, expression, listening, and feedback. The study result reveals each generation’s haracteristics and transitional process of marital communication behavior from younger couples to older couples as their intimacy and “shared” lived-experience get accumu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