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배경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논의를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동안 학자별로 강조하는 구성요소와 명칭에 있어 상이했던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달라진 미디어 환경에 따라 사회 문화적 영역이 포함되면서 그 개념이 확대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컨버전스기반의 참여문화(participatory culture)를중심으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Jenkins가제시한 ‘참여문화’의 특성은 무엇인지, 이러한 참여문화 향상을 위해 길러야 할 능력은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디지털 미디어, 문화,사회의 역동적 관계 및 이에 대한 리터러시능력을 강조한 Jenkins의 관점은 미디어 리터러시가 영상에 국한된 단일 언어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만이 아니라, 미디어를 둘러싼 인간의 사회문화적 해석에 대한 영역으로 확장되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ccording to Jenkins(2006a) based on two keywords-participatory culture and core media literacy skills, it is important to participate and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ies and social skills on the new media. Participatory culture shifts the focus of literacy from one of individual expression to community involvement. The new literacies involve social skills developed through collaboration and networking and these literacy skills build on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literacy, technical skills, and critical analysis skill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s of participatory culture and of core media literacy skills. Also,this study aims to reconceptualize media literacy in the digital media era. This article reviews the variety of definitions and presents a synthesis of commonalities that most definitions of media literacy share.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a digital literacy in the environment based on digital media which has expansion of context, connectivity and interaction. Fostering such literacy skills and cultural competencies requires a more systemic approach to media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