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is a theoretical investigation to explore the zero sign in semiotics for modeling the cultural signification system. Although the study of the zero sign largely belongs to the subject of semiotics, the apparent notions of the zero sign appear in few articles in contemporary semiotic literature and then only briefly. Therefore, the subject of the zero sign still awaits some pilot studies. This discussion of the zero signs explores the following four major inquiries with a semiotic approach to the zero sign in human communication: ① What is the zero sign and when does it appear in human communication? ② How does a zero sign convey its meaning in its form and substance? ③ What are the generative rules for the zero sign production in a culture? ④ What is the signification system of the zero sign in a culture? The ultimate goal of this theoretical investigation is to examine a zero sign phenomenon in human communication that reveals the cultural signification system entailing a sign, culture and meaning production.


이 연구는 기호학에서 좀 더 많은 주목과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되고 있는 ‘제로 기호’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하나의 기호가 어떻게 문화 속에서 생성되고,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가를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특히, 하나의 기호가 문화 속에서 생성되고 사용되는 과정에서 기호의 출현 상태뿐만 아니라 부재 상태에 의해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제로기호’에 대한 기호학적 구조분석을 통하여, 문화적 기호생성 체계에 대한 모델을 구축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먼 커뮤니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제로 기호’ 현상에 대하여 다음 네 가지 세부적인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① 제로 기호란 무엇이며 휴먼커뮤니케이션에서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가? ② 제로 기호는 어떠한 형식과 실질체계를 통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전달하는가? ③ 한 문화권에서 다양한 제로 기호들을 출현시키는 그 ‘생성 규칙’은 무엇인가? ④ 제로 기호의 구조 분석을 통하여 본 ‘문화적 기호생성 체계’는 어떠한 모습인가?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기호학적 탐색을 통하여 휴먼 커뮤니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제로 기호’ 현상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 현상에 내재된 ‘기호, 문화, 의미전달’ 요인들을 내포하는 문화적 기호생성 체계 모델을 구축해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