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水南放翁 鄭勳의 龍湫游詠歌와 水南放翁歌를 통하여 17세기 강호가사의 전환기적 서정에 대해 고찰했다. 용추유영가는 四季를 중심으로 작품의 진술이 이루어지고, 춘하추동 각 계절에 대한 진술의 분량이 균일하게 안배됨으로써 전기가사의 전통적 서정 방식을 계승하고 있지만, 자연의 경물들이 형식적이고 피상적으로 나열됨으로써 그 화려하고 다양한 묘사에 걸맞은 자연스러운 흥취의 표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안빈낙도라는 사대부의 풍류가 자족적이고 넉넉한 정신적 자긍의 이념이 아닌 좌절의 생애에 대한 위무로서 표명되는 등 전통적 서정의 방식을 관습적으로 답습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 작품에서는 전기 강호가사에서 이념적 실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존재하던 江湖가 그 이념적 실현으로부터 멀어진 관념적 가능태로만 존재한다. 수남방옹가는 안빈낙도의 표명이 결사가 아닌 서두에서부터 이루어지고, 또 사계 부분의 春詞에 경험적 현실의 구체성과 현장성이 반영되어 진술의 양이 늘어남으로써, 네 계절에 대한 진술 분량상의 균일한 안배가 무너지는 등, 작품의 구조적인 면에서 전통적 서정 방식에서 이탈한 생경함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탓에 이어지는 夏詞秋詞冬詞의 경치에 대한 묘사는 단조롭고 무미건조한 진술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연의 경물에 대한 정서적 감흥을 실감 있게 드러내지 못한 채, 사계 진술의 형식적 완결만을 꾀하기 위한 기능적인 나열에 그치고, 끝부분에 가서 현실정치에 대한 시름의 정서가 진술의 표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전통적 서정을 이탈한 이러한 생경함 속에서 수남방옹가의 강호는 용추유영가의 관념적 가능태로부터도 더욱 멀어진 이념적 허상으로만 존재한다.


An object of this thesis is to inquire the transition periodic aspect of the Gangho-kasa in 「Yongchuyouyeongga」 and 「Sunambangongga」 of Jung-Hun in 17th Century. 「Yongchuyouyeongga」 is composed of the four seasons, and succeeds to the form of traditional lyricism of the former term Kasa which equally divides the quantity of statement about the every single season, however, such form of traditional lyricism of the former term Kasa is followed just customarily. The scene of nature is formally and superficially arranged, so that the expression of the gusto which is appropriate to the various and florid description about scene of nature is not achieved. And the contentment with poverty and the pleasure in an honest way is expressed as the consolation to the frustration not as the self-sufficient and broad spiritual pride. In this work, Gangho remains as the abstract possibility that is far from the ideological realization. 「Sunambangongga」 presents the crudeness which break away from the form of traditional lyricism in the structural aspect. This crudeness is that the contentment with poverty and the pleasure in an honest way is appeared not in the last part but in the beginning, and the equivalent distribution about the each four season(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is collapsed as reflecting the concreteness and realism of experiential actuality in the statement which is about four seasons. Gangho of 「Sunambangongga」 exist as a ideological false image in this crudeness which broke away from the traditional lyric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