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을 전기와 후기로 구분해 그 흐름상의 변화를 추적하는 작업들은 대개양측의 분기점으로 17세기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이러한 시대 인식은시가문학에도 영향을 끼쳐 17세기 시조 해석과 관련해 이전 시기의 지속과 변화 의 측면에서 다양한 논쟁들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편 당대 가사의 경우는작품 속 작자의 공간인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작자의 서정을 압축적으로 형상화하는 시조와 달리 무제한의 서술이 가능해 다양한 사유나 경험들을 수용할 수 있는 가사의 경우, 꽤 많은 작품에서 공간의 이동 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본고는 우선 이재(頤齋) 조우인(曺友仁: 1561-1625)이 남긴 네 편의 가사 「자도사(自悼詞)」, 「매호별곡(梅湖別曲)」, 「출새곡(出塞曲)」,「속관동별곡(續關東別曲)」을 살펴보았다. 먼저 <자도사>는 천상의 절대성이 약화되며 지상과의 이질감이 줄어들고 있었다. 그로부터 님이 부재하는, 즉 내가 현존하는 공간은 천상의 전일적 귀속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가치를 얻게 되었다. 「매호별곡」은 서두에서 특정 공간 에 대·정자·집을 짓는 과정을 비교적 자세히 언급하며 외부세계와의 일정한경계점을 형성했다. 나름의 깨달음을 얻고 새롭게 거듭나는 공간으로서 강호만의 존재 가치를 드러내었다. 「출새곡」과 「속관동별곡」은 출발부터 목적지가선험적 관념에 의해 상당부분 규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실제 마주한 낯선 경험들을 통해 문제적 현실에 새롭게 대응하면서 해당 공간만의 유의미한 가치를산출할 수 있었다. 이처럼 17세기 조우인의 가사는 차츰 떠나온 곳과 도착한곳의 차이를 감각하는 모습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제 떠나온 곳으로부터 조회되었던 도착한 곳은 역으로 그곳으로부터 떠나온 곳을 조회하는 인식의 전환을 꾀하게 되었다. 푸코(Foucault)에 의하면 17세기 고전주의 시대 인식의 특성은 단지 주어진세계를 해석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질서·의미의 발견에 있었다고 한다. 이와함께 조선후기는 성리학의 권위가 약화되고 그 틈새로 여러 이질적인 목소리들이 스며드는, 낯선 경험과 조우하는 시대였다. 이에 당대인들은 선험적 진리를 구현하는 존재에서 사유 활동 및 주체의 발생을 탐색하는 존재로 나아갔다. 공간의 이동은 실제 낯선 세계와의 대면, 특히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가능케한다. 떠나온 곳과의 조화보다 차이를 감각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그만큼 당면한 공간에의 집중 및 새로운 경험과 가치들의 습득에도 개방적·적극적인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이전 시기와 구분해 차이의감각이 확인된 17세기 가사의 공간인식은 새로운 주체·질서의 구성 이란 후기적 과제에 대한 하나의 문학적 대응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세상을 향해 나의 목소리를 전하는 가사가 유배·강호·기행이라는 형태로 조선후기에 성행할 수 있었던 배경의 하나로 그것이 차이와 앎 에 대한 당대인의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문학 장르였음을 또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task of dividing the Joseon Dynasty into early and late periods while tracking the flowing ranges of each period, there has shown a tendency to focus on the 17th Century as the diverging point. Such recognition of the age also influenced Korean poetry literature, and diverse controversies have arisen i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17th Century Korean poetry in the perspective of constancy and variation of the former period. While, for its contemporary Korea Gasa, it is worth focusing on the spatial recognition of authors revealed in their works. This is because spatial transportation can be found in many Gasa works where, unlike Korean poetry which compressively formalizes the author's lyricism, various thoughts and experiences were accepted because unlimited descriptions were possible. Related to the above,this research first examined four Gasas left by Cho Woo-in: 「Jadosa」,「Maehobeolgok」, 「Choolsaegok」, and 「Sokkwnadongbeolgok」. First of all, 「Jadosa」 is weakening the unquestioning heaven, and reducing the difference from ground level. Therefore, the space where I exist in but God doesn't has obtained the independent value out of the devoted attribution to the heaven. The introduction of 「Maehobeolgok」 mentioned the process of building arbor and houses in relative detail and formed a definitive perimeter point from the outside world. Also, as a space in which the author achieved his own enlightenment and became reborn, it revealed the unique value of Gangho's existence. Meanwhile, most parts of 「Choolsaegok」 and 「Sokkwnadongbeolgok」 are defined by transcendental concept from the start to the destination. However, through strange experiences faced in real after that, it was able to yield significant value of the proper space corresponding newly to problematic reality. As such, Cho Woo-in's Gasas in the 17th Century gradually started to show a sensing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lace he left and arrived. Now,the place he arrived which is referred from the place he left came to plot a conversion of recognition to conversely refer to the place he left from the one he arrived at. According to Fouca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ism recognition in the 17th Century was in the discovery of new order and meaning, not on merely analyzing the given world. Along with this,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as a time for encountering unacquainted experiences—the authority of Xing-Li-Xue weakened and, through the niche, various heterogeneous voices seeped through. Hereupon, contemporaries proceeded to as an existence of searching the reasoning activities and generation of subjects from an existence of seeking pre-experienced truth. The transportation of space make possible confrontation with strange worlds in reality, especially new visual experiences. Starting to sense the differences,rather than harmony, with the place he left means that the possibility is as great of taking an open and progressive attitude toward focusing on the space faced and the acquisition of new experiences and values. Eventually, spatial recognition in the 17th Century, where a sense of difference was verified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period, can be called a literary confrontation toward the later task, "the construction of new subject and order". In this contextual view, as one of the backgrounds which allowed Gasas, which convey my voice to the world, to be prevalen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forms of exile, Gangho, and itinerary; it also could be thought as a literary genre which was able to accept the desire of contemporaries toward "difference and acquain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