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해방기 자기고백의 문제는 자기 자신을 고백하는 것인 동시에 고백을 통해새로 건설되는 국가의 일원임을 증명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었다. 이태준의 「해방전후」와 채만식의 「민족의 죄인」은 이러한 해방기 현실을 반영하는 작품이다. 이들의 작품은 해방직후 작가 자신과 유사한 주인공을 내세워 식민 사회의 기억을 고백한다. 고백을 통해 드러나는 과거는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기록하기보다 망각과 기억의 전략을 활용하여 현재의 나 를 정당화하는데 집중한다. 이태준이 설명하는 과거는 침묵에 저항의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을 통해 서사화 된다. 이러한 서사는 해방 후 작가 자신이 보여주었던 일본어 사용을 비판하는 논리로 반복되면서 현재와 과거의 나 를 이어준다. 채만식은 자신의 과거를 훼절의 서사를 통해 형상화된다. 주인공인 나 가 탐색하는 과거는 표면적인 대일 협력의 내면에 있던 훼절의 죄를 드러낸다. 채만식이 보여주는 훼절의 논리는 그가 자신의 작품을 통해 의도한 민족 전체의 반성과 연결되면서 현재의 나 가 주장하는 양심적 청산의 논리를 드러낸다. 자기고백체 소설은 현재의 나 와 긴밀히 상호작용하는 동시에 지울 수 없는과거의 기억을 드러낸다. 두 작가가 해방이전 창작했던 사소설 경향을 고려할때 그 의미는 좀 더 분명해진다. 식민지 시기 자기고백의 서사들이 생활의 어려움을 고백했다면, 해방기의 자기고백 서사는 생활의 어려움을 생존의 위기로 환원하고 이로 인한 불안감을 강조한다. 과거의 고백이 제국의 시선을 인지한 채 나 의 불안감을 그러냈던 것처럼 해방기의 고백은 민족을 규정하는 외부의 시선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낸다. 이들의 불안감은 국가와 민족이 일치하지않았던 식민지의 기억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나 의고백에서 또 다시 반복되는 불안감은 신생을 의도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와의완전한 단절을 이루지 못한 지우지 못한 기억을 드러낸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때, 해방기의 문학은 미래에 대한 열망뿐만 아니라 과거의 경험과 두려움을 반영하는 역사적 연속선상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다.


Liberation of Korea brings issues that who can be 'the genuine Korean' and have the responsibility and power of Building a new nation-state. There is no exception of writers. Lee Tea-Jun and Chae Man-sic are the one who face the issues of Korea after liberation. Both of them consider that they need to record themselves in the colonization period and mould a new identity after liberation. Remembering their past, they change the past event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Using selective memories, Lee Tea-Jun describes his past as withstanding a severe ordeal in his novel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explains his change as a result of cause and effect. On the other hand, Chea man-sic depicts his past as a life of moral offender and emphasizes his crime from the aspect of inner flaw in his novel 'A national offender'. With this logic, He insists that all the Koreans who have the experience of colony should reflect themselves in order to construct new nation-state by new generation. Both of writers explain their individual past. However, Their novels show the desire to be a genuine Korean in common. They achieve the goal by using the narrative of confession and recording author's experiences of lib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