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들어 한국어 학습자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한국어를 교육하는 지역 및 기관도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 사전도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전에 나온 학습자 사전들에서 올림말 문제를주로 살피었는데, 올림말의 선정과, 배열, 표기 등에서 내국인용 사전과 큰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젠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5만 개 정도의 올림말을 갖는 중사전을 편찬해야 할 때가 되었다. 중·고급 학습자까지 감당하는 사전인데, 이는 다양한한국어 학습자 사전을 편찬하기 위한 기반 사전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앞으로사전의 편찬과 사용의 환경은 크게 달라져, 종이 사전보다는 전자 사전이나 웹사전, 앱 사전 등의 이용이 늘어날 것이다. 이들 새로운 매체의 사전은 용량이엄청나게 늘어날 수 있으므로, 올림말 영역에서도 좀더 학습자가 쉽게 이용하도록 사전을 구상할 수 있다. 가령 불규칙 용언의 변이 어간, 널리 사용되는비표준어나 잘못 쓰기 쉬운 표기 형태 등도 올림말에 수용하며, 사용 빈도순에따라 어깨번호를 매기는 등이다. 여기에 더하여 본고에서는 어절 사전 을 제안하였다. 명사와 조사가 결합한형태들,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 등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다. 말뭉치에서 일정빈도 이상을 가진 어절이 다 올림말이 되는 것으로,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이부담 없이 사전에 접근하여 원하는 정보를 아주 쉽게 얻을 수 있게 한다. 이는새로운 대용량 매체의 사전에서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다.


Recently, as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re rapidly increasing, the regions and the kinds of organizations where one can learn Korean are being largely enlarged and diversified. Along with the tendency, dictionaries for Korean learners should also be developed in more diversity.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entries in the existing Korean Learner s Dictionaries and could not find any notable differences between dictionaries for native speakers and those for Korean learners in terms of selection, arrangement and script of entries. Now the circumstances are well matured for the compilation of a midium-sized dictionary that contains around 50,000 entri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t would be a dictionary which can suppor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at the same time, which can play the role of a base dictionary for publishing other diverse Korean Learner s Dictionaries. As today s environments for dictionary users and publishers are fundamentally changed,the use of web-based or application-based dictionaries, compared to paper type, will be largely increased in the future. The capacity of these new dictionaries are also expected to become quite large, so we conceived our dictionary in a way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Korean learners even in terms of entries. For example, variants of irregular predicates, commonly used non-standard vocabulary or easily mistaken script forms are also included in the dictionary, and are given superscripts according to their frequency of use. On top of this an eojeol dictionary is proposed in this paper. It includes all the forms such as noun-particle combinations, various conjugations, etc. It means that every eojeol with a certain frequency of use would be an entry so that it allow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get easy access and obtain the information they want in a very convenient way: all these are totally feasible with the new proposed dictio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