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파생적 피동문의 특성을 살피고, 그것을 구성하는 피동 접사의 기능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전형적 피동문의 경우에 피동 접사는 영어의 수동태 분석에서와 비슷하게능동문의 주어와 목적어를 각각 피동문의 부사어와 주어로 나타나게 해 주는 문법 범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하지만 적지 않은 피동문의 경우에 그에 대응하는 능동문을 설정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문장이 ‘피동’의 의미를 지니는지조차 불분명한 경우도 있어 피동 접사의 기능 분석은 주요 주제로 여겨졌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히-, -리-, -기-’ 등의 접사가 결합함에 의해 어떤 행위나 동작을 이행하거나 발생시키는 행동주(Agent) 또는 사동주(Causer)가 주어로 나타나지 않는 구문들의 다양한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분석 방법을 모색한다. 먼저 국어의 파생적 피동문을 형성하는 접사의 기능이 논항 구조에서 외재 논항을 억제하는 것과 ‘행위’ 또는 ‘원인’을 표현하는 사건 구조 형판의 한 갈래를 절단하는 것 두 가지로 크게 나뉘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이 논문에서 사건 구조의 절단은 한 술어가 실제로 실현하는 의미 구조뿐만 아니라 의미의 가능태를 표현하는 구조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설정되는데, 이러한 분석은 일반적으로 직접 피동으로 불리는 문법 범주를 단일한 기능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우며, 그 적용 양상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This study focuses on functions of the suffixes which form morphological passives. In the case of typical morphological passives, the suffixes are analyzed as being responsible for the grammatical function change by which the subject and object of an active sentence become an oblique nominal and subject of the corresponding passive respectively. However, in a few cases of morphological passives, it is hard to find their corresponding active sentences, and furthermore, it seems doubtful that some 'so-called' morphological passives even have a real passive meaning. Thus, this paper suggested a different approach for various aspects of the sentences in which Agent or Causer argument does not appear as a sentential subject because of the properties of a predicate formed by the suffixes such as '-i-, -hi-, -li-, -gi-' etc. First, it was proposed that the passive suffixes have two main functions: One is to suppress the external argument of the root predicate and the other is to truncate the Activity part of the event structure. In the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event truncation operates on event structure templates which express possible but unlexicalized meanings as well as already lexicalized meanings of real lexical items.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grammatical category called morphological passives cannot be explained by assigning a simple function to it, but rather its application modes should be sub-categorized to properly analyze various aspects of pass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