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백철은 1948년에 조선신문학사조사 근대편을, 이듬해인 1949년에 현대편을 간행하였다. 이 두 권의 문학사를 우리는 백철 문학사의 원본이라고 불러야 한다. 왜냐하면 1953년 이후 네 번에 걸쳐 백철 문학사의 개작 판본들이 출간되었기 때문이다. 백철의 원본 문학사는 한국 근대문학사 가운데서 매우 독특한 위상을 갖고 있다. 해방 직후의 좌우 이념 대립의 과정에서 백철은 좌우익 문학단체의 자진 해체를 촉구하는 중간파의 위치에 있었다. 이로 인해 좌우 어느 쪽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면서 백철은 문단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물러나 문학사 서술에 몰두할 수 있었다. 백철이 처한 중간파적 상황은 문학사 서술을 가능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서술 방향까지 결정하였는데 사조사라는 서술 방법이 그것이다. 사조사의 서술방법을 선택함으로써 백철은 모든 사조를 등가화할 수 있었고 좌우 이념의 대립적 관점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그의 문학사는 다른 누구의 문학사보다 풍부한 내용을 갖게 되었다. 백철에게 사조 개념은 문예사조로 제한되지 않는 근대적 이념 형태 모두를 지칭하는 것이었다. 백철은 계몽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 등 근대 이념과 낭만주의, 자연주의, 리얼리즘, 모더니즘 등의 문예사조를 포괄하여 서술하고 있다. 서구 사조 개념에 근거를 두었지만, 백철이 문학사 서술과정에서 관심을 두었던 것은 한국 문학사에 나타난 근대 사조의 특수한 모습이었다. 그 결과 백철 문학사에서 사조사는 서구에서처럼 사적 변화 과정으로 기술되지 않고 한 시대 안에 동시에 나타난 여러 사조적 경향들을 함께 제시하는 공시적 계열화의 형태로 제시되었다. 백철의 문학사는 배제의 문학사가 아니라 포괄의 문학사이다. 근대 문학 작가들의 작품과 비평문을 길게 인용하고 주석하는 방식으로 백철은 문학사를 서술하였다. 백철 문학사는 근대 문인 다수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는 다성적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백철의 문학사는 백철 개인의 것이라기보다는 근대 문인 공동의 저서라는 성격을 갖게 되었다. 사조의 등가성과 이념적 개방성, 그리고 지적 공정성이야말로 백철 문학사의 고유한 장점이 되었다. 중간파의 입장과 文學史家 자신을 최대한 낮추려는 서술 태도로 인해 백철 문학사에는 근대 문학의 어떤 계열들도 배제되지 않고 담겨졌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문학사에서 지나쳐버린 문학적 사실들도 폭넓게 기술된 자료사전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백철의 조선신문학사조사는 한국 근대문학사의 고전으로서 다시 읽어야할 가치를 지니고 있다.


Baek Cheol's Choseon-sinmunhak-sajosa(The History of The Tren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1948-1949) is a distinctively unique work among the writings o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is work reflected the writer's characteristics of neutrality especially revealed during the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ngs after the Korean Liberation. Baek Cheol's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ncluded modern ideologies such as enlightenment, nationalism, and socialism, and also embraced such literary trends as romanticism, naturalism, realism, and modernism. Baek's work was written on the basis of the Western literary trends. However, Baek focused on the special features of the modern literary currents distinctively reflected in Korean literature. This is the reason why Baek did not illustrate the changes of the literary trends in a diachronic order. Rather than to give a diachronic order, he chose to present various trends of literature synchronically. Thus, his literary history could be said as pointing to be an open history rather than a closed system. Baek composed his literary history with many cites and notes from various literary texts, therefore this literary history could be considered as a cooperative work of the modern korean writers rather than Baek alone. It is openness and impartiality which could be the virtue of Baek's literary history. Thus, Baek's work is worth reading as one of the best classic works of literary histor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