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에서 경험하는 한국어 쓰기 불안이 이들의 모국어 쓰기 불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40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모국어 쓰기 불안과 한국어 쓰기 불안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해 Daly & Miller(1975a)의 쓰기 불안 측정 도구(Writing Apprehension Test: WAT) 설문 문항을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Cheng, Horwitz & Schallert (1999)의 요인분석 결과에 근거해 한국어 학습자 쓰기 불안의 하위 구성을 낮은 자신감, 쓰기 거부감, 평가 불안감 등의 세 개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 요인들을 기준으로 본고는 학습자 응답 자료에 대해 척도의 평균 및 분산 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어 쓰기 불안과 모국어 쓰기 불안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국어 쓰기 불안에 비해 한국어 쓰기 불안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학습자의 학습 상황과 숙달도가 변화함에 따라 점차 학습자의 쓰기 불안 양상도 변화하는 것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쓰기 불안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요인 중에서는 두 언어 모두에서 낮은 자신감이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내용은 선행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내적 관련성에 있어서는 평가 불안감 요인이 기타 요인과 맺는 관련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국어 쓰기 불안이 한국어 쓰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4.1%로 두 언어 간 명확한 전이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 쓰기에서 학습자의 모국어 배경의 영향력이 비교적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인지적 측면과 달리, 정의적 측면에서의 영향력은 크게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지어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L1 writing anxiety and L2 writing anxiety of Korean learners. 140 learners participated to the survey concerning L1 writing anxiety and L2 writing anxiety. Writing Apprehension Test (WAT) developed by Daly & Miller(1975a) is employed for the question items. The sub-factors of writing anxiety are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which are low self-confidence, aversiveness in writing, and evaluation apprehension using factor analysis of Cheng, Horwitz & Schallert(1999). Based on these factors,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L1 writing anxiety and L2 Korean writing anxiety using mean and variance of the sub-factor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L2 Korean writing anxiety is higher than L1 writing anxiety and the degree of writing anxiety varies over the learning condition and proficiency of the learners. In addition, the result finds that the most significant sub-factor,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anxiety, is low self-confidence as shown in the existing work. However, no interlingual transfer is observed between two languages. This implies that, in Korea writing, the impact of affective factors is less than that of cognitive factors, which is considered as crucial, especially in terms of the impact of L1 backgr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