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1934년부터 1936년까지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된 이태준의 장편소설 「불멸의 함성」, 「성모」, 「황진이」에 나타나는 표기의 변화를 살피는 데에 있다.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제정⋅발표되었지만, 시대적으로 일본의 민족말살정책이 행해지던 시기임을 고려한다면, 새로운 맞춤법 통일안의 확산이 제지되었을 가능성이 있었을 것은 물론이요, 기존에 쓰이던 표기 또한 어떤 취급을 받고 있었을지는 굳이 말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 짐작이 갈 것이다. 따라서 당시의 표기법이 어떠하다고 쉽게 단언이 불가능한 가운데, 신문연재소설에 나타나는 표기를 살피는 것은 당시의 표기법과 문장을 알 수 있는 하나의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본고는 그 중에서 특히나 민족지 성향이 강한 조선중앙일보에 실린 신문연재소설의 표기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인 대상이 되는 작품은 이태준의 장편 소설 3편, 「불멸의 함성」, 「성모」, 「황진이」이다. 이 세 작품은 1934년부터 1936년까지 총 3년에 걸쳐 꾸준히 연재되었기 때문에 그 당시에 실제로 쓰인 표기법과 그 변화까지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를 통해 1930년대 중반 표기법의 일면을 들여다보고, 나아가서는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세간에 어느 정도로 뿌리내렸으며 얼마나 정연하게 쓰였는지까지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rthography changes shown in 「Bulmyeolui Hamseong(Immortal Shout)」, 「SeongMo(The Virgin Mary)」, and 「Hwangjini」, the novels of Lee, Taejun serialized in Chosunjungang-ilbo from 1934 to 1936. The orthography of Hangul, <Hangelmachumbeoptongiran(한글마춤법통일안)> was enacted and announced in 1933. However, everybody can well guess that spread of the new orthography of Hangul was more likely to be restrained and how the existing one was treated even though the researcher does not tell about them if the period that Japan implemented the policy to obliterate the Korean nation is considered. Therefore, examining writing shown in serial stories in newspapers is valuable in studies in that it can be a channel to be able to know orthography and sentences of the time while it is impossible to assure what it is then easily. This paper focused on writing of serial stories published in Chosunjungang-ilbo with the especially strong inclination of ethnography. The works which become the concrete subjects are 「Bulmyeolui Hamseong(Immortal Shout)」, 「SeongMo(The Virgin Mary)」, and 「Hwangjini」 which are the novels of Lee, Taejun. These three works can be the good materials which can grasp actually used orthography and the changes because they were steadily serialized for total 3 years from 1934 to 1936. This study looks at one side of orthography in the middle of 1930s.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examine how the orthography of Hangul took root among people and was used in arran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