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영국 북부 초광역 지역정책을 사례로 새 정부의 초광역개발권 정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영국 북부의 초광역 지역발전 정책의 특징은 도시 및 지역들 간의 연계와 협력, 새로운 성장동력의 발굴, 다차원화된 공간적 규모에서 이루어지는 정책과 투자의 층 확보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배경에서 이루어진 북부인들의 새로운 도전인 ‘북부의 길’은 향후 초광역적 협력의 정체성 확보의 문제, 2004년이전까지 무수한 제도적 밀집에 부가하여 포개진 초광역경제권이라는 새로운 제도적 환경, 낙후성의 종말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와 같은 영국의 정책적 경험이 우리나라 초광역 개발권 정책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기 구상에 대한 실행계획 수립 및 이의 적극적인 추진이 필요하다. 둘째, 체계화된 운영프로그램의 구상과 이에 수반하는 적정한 예산배분이 필요하다. 셋째, 5+2 광역경제권 차원 뿐만 아니라 초광역개발권 차원에서 거점도시 발굴 및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초광역개발권 정책 추진에 있어서 점진적, 통합적, 연계·협력적 접근이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critically the pan-regional policy of the new government in Korea since 2008 by taking a case study of the pan-northern regional policy in the north of the UK. The policy by that of the UK can be characterised as the linkage and cooperation of cities and regions in the North, searching for a new engine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making policies and layers of investment more feasible on multi-spatial scales. Nonetheless, the north has faced with new challenges such as identifying pan regional cooperation, implementing a new institution, the so-called, ?he pan-regional policy?with institutional thickness which has been formed since the late 1980s. Lessons on the pan-regional policy by the new Korean government from British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ly, action plans on the basic concept in medium and long-term policy have to be established and subsequently, to be implemented. Secondly, structured concepts of operational programmes and plans on the effective distribution of the government? budget are required. Finally, to select and support core cities such as a mega-city at the pan-regional level is needed. It has to be argued that evolutionary, integral and cooperative approaches to the pan-regional development in Korea are required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the pan-regional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