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카르스트 지형 지오파크 조성을 위해서는 그 지오사이트에 해당하는 석회동굴에 대한 지형·지질학적 연구가 전제되어야 하고 이들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이 창조되어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9개 석회동굴의 스펠레오뎀을 중심으로 각 동굴의 특징적 지형을 파악하였다. 고수굴, 노동굴, 온달굴은 휴석과 휴석소가 전형적으로 발달한 동굴이다. 천동굴에는 전형적인 종유관이 형성되고 있고, 고씨굴에는 동굴벽에 동굴산호가 잘 발달해 있다. 환선굴과 대금굴에는 거대하고 기형적인 석순과 종유석이 성장하고 있고, 특히 환선굴에는 대규모 동굴퇴적물이 존재한다. 성류굴에서는 석순과 종유석이 물에 잠긴 경관이 관찰되어 동굴발달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천곡동굴은 유일하게 시가지에 발달한 동굴로서 접근성이 높다. 기존의 자연학습관과 인근의 돌리네와 우발라를 연계시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이곳은 훌륭한 카르스트지형 학습장소가 될 것이다.


To create Karst Topography Geopark, a topographic and geological study should be initiated on the limestone caves corresponding to the Geosite, and storytelling should be creat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ought to accomplish thi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topographies of 9 limestone cave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speleothem of each. Gosugul, Nodonggul and Ondalgul were found to have developed rimstone and rimstone ponds. Typical straw stalactites are well developed in Cheondonggul, while Gossigul features a wall with cave coral. Huge and typical stalagmites and stalactites grow in Hwanseongul and Daegumgul, with an especially large cave deposit in Hwanseongul. In Seongryugul, stalagmites and stalactites submerged in water have been observed, which helps explain the history of the cave? development. Cheongokdonggul is the only developed one in an urban setting, which allows high accessibility. If a program where the existing nature study hall, neighboring doline and uvala were linked, this would be a good Karst topography stud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