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류 대중영화의 미학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오늘날 서구 유럽과 미국은 물론이고 한국을 포함한 비서구 지역들도 지난 500년 동안 아메리카 지역을 필두로 하여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으로 확장된 서구 유럽의 근대화 과정을 통한 서구적 근대미학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문학은 물론이고 미술과 음악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적 절대미학이나 플라톤주의의 철학이 지니는 모방미학의 숭고미로 문학 텍스트는 물론이고 영화 텍스트를 평가하는 잣대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근대미학의 핵심은 외부로부터 차단된 닫혀진 공간의 미학인 동시에 공간 속에서 작동하는 이야기 장르의 미학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류 대중영화는 미국 헐리웃 장르영화와는 달리, 마치 1948년 무렵의 이태리 네오리얼리즘이나 1958년 무렵의 프랑스 누벨바그, 그리고 1968년 무렵의 독일 뉴저먼 시네마처럼 단일 장르영화가 아니라 혼합장르 영화라는 특성을 지닌다. 이런 측면에서 오늘날의 한류 대중영화는 근대미학이 토대를 두고 있는 닫혀진 공간의 스토리텔링 미학이 아니라 공간과 공간이 서로 연결되거나 변화하는 시간성 속에서 이미지의 변화와 생성을 특징으로 하는 탈근대 미학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한류 대중영화의 탈근대 미학은 봉준호 감독의 <괴물>에서 가장 크게 드러난다. 이 영화에서 근대적 공간의 “괴담”과 “기담”의 이야기는 시간 이미지의 작동을 통하여 “괴담”이 “기담”이 되거나, 혹은 “기담”이 “괴담”이 되는, 그래서 “괴기담”을 하나의 영화 텍스트 속에서 사유할 수 있는 새로운 미적 이미지들을 제공한다. 이런 측면에서 한류 대중영화에 접근하는 전통적인 근대 문학비평가나 문학교수들을 중심으로 한 지식인들은 지난 근대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서구 유럽의 근대미학이나 후기근대의 포스트모더니즘이나 신자유주의 지식의 근대적 영토에서 탈영토화하여, 오늘날의 동아시아를 필두로 하여 지구촌 곳곳으로 확산되고 있는 한류 대중영화가 제시하는 탈근대적 미학을 토대로 한 탈근대의 지식으로 재영토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탈근대적 지식의 토대는 탈근대적 변화와 생성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닫혀진 공간 속에서 작동하는 이야기 중심의 이분법적 운동 이미지의 지식이 아니라 공간과 공간이 상호 소통하는 시간 이미지 속에서 운동 이미지의 이야기가 서로 변화하거나 또 다른 이야기로 생성되는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의 과정을 사유하는 것이다. 한류 대중영화를 필두로 하는 한류 대중문화의 지구적 확대는 이러한 탈근대의 세계를 암시한다.


The rising of the trans-modern becoming and producing images is presenting the trans-modern aesthetics in Korean popular cinema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modern European aesthetics originated in the modern literary theories. In this respect, the trans-modern aesthetics of Hallyu popular cinemas demands that we have to open the door of the trans-modern epistemology deterritorialized from the modernity which is expanded into the global world during the past 500 years by the global design after the western European Renaissance. The knowledge of modern epistemology is sticked to the dichotomy of fixed ideas between mind and body, good and evil, west and non-west, man and woman, the developed and the undeveloped, and master and slave. And the true perception of the trans-modern images in Park Chan-Wook and Bong Jun-Ho has to be escaped from the knowledge of modern epistemology based on the dichotomy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Trans-modern being of image in Hallyu popular cinemas is the image of nature. As the seasons of nature shows the timely composition of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according the change of seasons, the screen image of cinema, <The Host> of Bong Jun-Ho, shows the timely composition of ghost stories and eccentric stories according to the changing relations making in events. And the trans-modern aesthetics of Hallyu popular cinemas is interested on the changing and becoming of image beings prior to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human language. The changing and becoming of image beings gives us the new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s changing and becoming between in and out of theatre, the cinema and the audience,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and the local and the global. This trans-modern aesthetics indicates that we have to get the episteme of the body image prior to the linguistic thinking and the knowledge of nature and chaosmos prioe to the one of human and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