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8세기 근대 영국 경험주의에서 미 개념은 근대 이후 미와 숭고에 대한 미학적 중요성을 가진다. 본 논문은 근대미학의 미와 미적 논의에 대한 반성적 고찰로써 18세기 영국 미 이론 형성 과정에서 메리 울스턴크래프트(Mary Wollstonecraft, 1759-1797)의 미 개념에 주목한다. 이를 위하여 울스턴크래프트의 정의의 미(Beauty of Justice)가 철학적 맥락에서 어떤 쟁점을 가지는지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 1729-1797)의 미를 중심으로 비교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두 철학자의 논의를 통하여 당시 통념적으로 인식되었던 미의 속성을 논구한다. 특히 보편적 속성으로 인식되었던 미의 특징은 여성의 지위에 상응하는 불평등한 인권에 대한 현실을 반영한 것임을 밝히고, 근대미학에서 미에 관한 논의가 젠더와 연관이 있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울스턴크래프트에 의하면 미는 사회적, 정치적 태도 그리고 도덕적인 요소와 결합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자연스럽게 획득되는 성질이 아니다. 따라서 인간으로서 여성도 교육을 통해서 인권을 향상하여 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때 이러한 미를 ‘정의의 미(Beauty of Justice)’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독립적 존재로써 인간에게 미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의미를 획득하는 종류의 것임을 입증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can gain insight about our modern debates about aesthetics when reflecting on similar discussions from the European 18th century. Compared are extreme poles of debate about aesthetics by Mary Wollstonecraft (1759–1797) and Edmund Burke (1729-1797). These authors’ points of view can re-enter our discussion about modern aesthetics, since so much of the modern debate about aesthetics has strange parallels to their debate raised over 200 years ago, parallels that were demoted soon after. European discussion about beauty in the Enlightenment era considered it a universal property of the status of women, with a corresponding inequality established on conceptions of civics, politics, and ‘universal’ human rights as male characteristics. To the contrary, Wollstonecraft called attention to this gendered differentiation between beauty as female and civics as male by saying to the contrary that the concept of beauty and civics can be connected and mixed. Beauty, she writes, is more universal to humanity in conceptions of morals and justice, so it includes social, political, and civic issues instead of these being different categories polarized as separate from the beautiful. So her logic is women are capable and require more education to grow their reason and thinking toward greater beautiful ideals of equal justice for humanity. So she wanted to change the concept of beauty to general human improvement regardless of sex, regardless of previous categories that separated beauty and civics. Such ideas did not reenter European aesthetic discussion largely once more until the late 20th century to the pres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