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플라톤 이래 서구 전통철학에서 몸은 직접성에 내몰리는 것으로서 진실한 것과는 거리가 멀다는 오명을 입어 왔다. 이것은 몸과 정신을 독립된 두 개의 실체로 보는 이분법적 사유에 기반한다. 이에 대해 메를로-퐁티는 ‘살’이라는 독특한 개념을 제시하면서 몸과 정신이, 주체와 대상이 사실상 하나의 덩어리에서 파생한 것임을 역설한다. 그리고 내가 비단 이 몸의 경계에 국한된 한갓된 존재자가 아니라 나를 둘러싼 자연 및 문화적 사회와의 공명 속에 비로소 떠오르는, 그래서 하나의 견고한 자아이기보다는 차라리 익명의 존재임을 보여준다. 여기서 감각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은 한 몸으로 이루어진 두 차원으로 나타나며, 몸은 “감각되는 감각하는 것”으로서 반성이 태동하는 근원적 지점임이 밝혀진다. 이것은 후설이 촉각에서 독특하게 나타나는 특성으로 기술한 감각의 자기반성성이 사실상 감각 일반의 특성임을 확인하고 이를 살의 자기반성성으로 확장시킨 것이다. 살 개념과 함께 메를로-퐁티는 관념론의 능동성 편향과 실재론의 수동성 편향의 한계를 넘어선 새로운 반성의 양태, 다시 말해 정신-몸, 나-타자의 이분법을 넘어 작동하는 몸의 반성의 메커니즘을 드러내 보이면서 반성의 보다 근원적인 의미에 도달한다.


The body and the sensible, having the image of being immediate and superficial, have long had the stigma of being far from the truthful. The notion is based on the dichotomous thinking that regards the body and the mind as the two independent substances. Merleau-Ponty, however, proposed a unique concept of 'Flesh' and asserted that our mind and the body, and the subject and the object derive from single being. He stressed that the subject is not a mere being limited to the boundary of one's body, but comes up from the resonance of the surrounding nature and the cultural world, so that it's not an invariable and pure ego but an anonymous being. The sensible and the mind turn up to be the two different levels of one phenomenon, and the body, found to be the "the sensed sensible", shows up to be the primal sphere in which the reflection is generated. Previously, Husserl described that the sense of touch has the unique feature of self-reflection. However, Merleau-Ponty found out that this self-reflection of sense is the universal feature of all senses, and by extension, he elucidated that this feature is nothing less than the self-reflexivity of the Flesh. With this concept of Flesh, Merleau-Ponty went beyond the limit of the active bias of the idealism and the passive bias of the realism, and reached a more fundamental phase of reflection, showing the mechanism of the bodily reflection that operates beyond the dichotomy of mind-body, and subject-o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