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폐허는 역사의 농밀한 기억이 침전된 특정한 장소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폐허라고 하는 미적현상을 논하기 위해서는, 대체 장소란 무엇인가, 또 인간이 그 장소에 들어선다는 것은 어떠한 몸짓인가, 그리고 그 장소에 맴도는 과거의 혼령인 기억은 어떠한 것인가를 밝힐 필요가 있다. 우리가 지각하는 주위환경은 공간이라고 하는 공허한 확장이 아니라, 장소와 그 위에 놓여있는 다양한 사물들이 보여주는 면의 배치이다. 장소의 지각은 언제나 자기지각을 동반한다. 이 장소 존속의 지각에 뒷받침되어 예기(豫期)와 기억(記憶)이라고 하는 비(非)지각적 의식이 가능해진다. 예기와 기억은 미래와 과거에 접촉하면서, 역사와 이야기의 공간을 펼친다. 그런데 이 행위나 사건이 종식되어 마침내 잊힐 때, 그 역사의 공간은 아무도 드나들지 않는 장소 즉 폐허가 된다. 일상의 생활공간을 벗어나 폐허에 들어설 때, 우리는 그 장소의 존속을 강하게 지각한다. 그때 우리의 지각은 일찍이 거기를 오고갔지만 실은 본적도 없고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의 그 장소에 대한 지각과 하나가 된다. 폐허에 침전되어 있는 것은 나의 개인적인 기억이 아니라 타자의 기억이다. 그것도 전설·문학·역사의 형태로 유포된 이야기에 의해, 나의 내부에 사소하게 축적된 기억들이다. 폐허의 미학은 기념비처럼 공동체의 정체성을 일관된 역사로서 읽어낸다거나, 자신의 과거를 미적인 추억에 잠겨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조각난 단편이 되어 더 이상 수복이 불가능한 이야기의 부재와 자신이 하나가 되는 것이다. 그 단편들이 지금 자신이 서있는 장소의 부동(不動)하는 존속 가운데 자신과 하나가 되는 경험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the structure of aesthetic experience of ruins. Ruins are specific places where the memories of history have been accumulated densely. In order to deal with the ruins as aesthetic phenomena, we need to explain above all such problems as what the places are, what our gesture of entering into ruins means, and what the memory working in the place of ruins is. Our environment is not a vacant space but a place as a surface of the earth on which we are standing. The perception of the persistence of place supports our non-perceiving consciousness such as anticipation and memory. Anticipation and memory spread out histories and stories, contacting with the past and the future. When the actions and the events have come to an end and then have been forgotten, the historical spaces become desolate places where nobody goes to and from, namely the ruins. While entering into the ruins, escaped from ordinary life, we are perceiving strongly the persistence of place. Our perception becomes oneness with the past other's perception of the place whom we didn't have met ever and didn't know previously. The memories accumulated in the ruins are not come from me but from others. And yet they are slight memories which come out view inside me. The aesthetic experience of ruins is neither to read the community's identification as a consistent history, nor to tell our own memories by indulging in reminiscence. It is to become oneness of our existence with the absence of the story which cannot be restored anymore by the fragments. It is a specific experience of the oneness that the fragments of the past and our existence meet each other in the stable persistence of the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