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Caillois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놀이의 교육적 기능을 구명(究明)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놀이이론의 특징과 Caillois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놀이의 특징을 고찰한 다음, 이에 근거하여 놀이의 교육적 기능을 구명하였다. Caillois는 놀이를 문화 그 자체라고 강조한 Huizinga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이를 더욱 발전시켰다. Caillois는 놀이를 자유로운 활동, 분리된 활동, 확정되어 있지 않은 활동, 비생산적인 활동, 규칙이 있는 활동, 허구적인 활동으로 정의하고, 경쟁, 우연, 모의, 현기증이라는 네 개의 역할 중 어느 것이 우위를 차지하는가에 따라서 놀이를 아곤, 알레아, 미미크리, 일링크스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Caillois의 놀이구분은 놀이 각각의 특징에 따라 이를 체계적으로 구분한 것으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Caillois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놀이는 문화의 한 현상으로서, 어린이들의 전인적인 성장에 도움을 주며, 특히 정서발달과 사회성 발달, 문화형성 및 신체발달에 도움을 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ucational function of play through analyzing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lay in Caillois’ socio-cultural perspectives, and to investigate into a new direction of study on Korean play. Caillois critically succeeds to Huizinga who insists that play is culture itself and develops it. He also defines play as a free, separate, uncertain, unproductive, governed by rules, and make-believe activity. Caillois categorizes play as Agôn, Alea, Mimicry, or Illinx as based on whether the role of competition, chance, simulation, or vertiea, is dominant. This devision of play in Caillois systematically divided into each play's distinctive features and that has high applications. Play in Caillois’ socio-cultural perspectives is a culture phenomenon, and can be educationally helpful to growth of for the whole man, especially improvement of emotion and Sociality, growth of cultural and physical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