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교 행복교육 추진의 어려움과 극복 방안의 모색이라는 시의적 필요 맥락에서 행복교육의 실질적 추진 가능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쉽게 말해 행복교육을 어떻게 추진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교육철학적 탐색을 시도하고 있다. 핵심적으로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다른 교육과 구분되는 특별한 내용을 가진, 명사형으로서의 행복교육’이 아니라 기존의 교육에 스며드는, ‘학교 교육의 과정과 결과에서 행복이 드러나는, 그런 형용사로서 행복한 교육’으로 이해하자는 것이다. 행복교육의 필요성과적절성은 충분히 공감하면서도, 행복교육은 행복‘을’ 가르치는 교육을 의미한다는 점에서,부분적 접근으로서 그 가치는 인정되지만 기존의 교육을 바꾸어 줄 수 있는 대안적 관점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반면 행복한 교육은 기존 교육의 관행을 바라보는눈으로, 교육 실제의 전반을 행복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반성적으로 개선을 실천하는 모든활동을 의미하게 됨으로써, 학교 현실을 개선할 수 있는 보다 적절한 개념으로 파악될 수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전제하에 행복한 교육이 학교 교실에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출발과 추진의 조건 몇 가지를 축약하여 제시하였다. 즉 출발의 조건으로는 교육 목적으로서 행복인식, 현 행복 상황에 대한 진솔한 진단, 기존 추진 교육과의 관계 분석을, 추진의 조건으로는 학교 지성의 회복, 학생의 내적 필요를 강조한 교육과정운영, 학생의 참여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학교 행복교육의 실질적 추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되었기 때문에 이론적이라기보다는 실천적이며, 분석적이라기보다는 한 가지 제안의 성격으로 제시되었음을 밝혀둔다.


Now education of happiness have been widely spread out in Korean educationallandscape. But it has tended to be understood as education for happiness per se. AsJ. Dewey had said, the ideas about happiness might be indifferent or unhappy orhappy. So to speak, it is not a powerful way to make children happy, and also itcould be burdens of school situation which is fully filled with innumerable activities. Happiness is to be considered as a color that might be habituated through all theschool activities, not just some special programs. Therefore, direct teaching ofhappiness should not be taken as the main approach to happiness education. O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suggests six procedures to be reached the happyschool. 1) Happiness is taken as one of core aims of school education. 2) The states ofnow and here of real school is analyzed with eyes of it. 3) It is located under therelationships among educational practices. 4) Recovery of school intellectual is mostimportant in making school happy. For this, co-discussions on it is inevitable. 5) Incurriculum managing, the inner needs of students should be more taken, in that it haslong been overlooked. 6) The participation seems to be useful tool because it can betaken as an index to make a prediction of happ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