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동편제의 소리 거장 박봉술의 춘향가 중 이별가 중 ‘춘향 어모일어나며’ 대목의 사설적. 음악적 특징을 연구 한 것이다. 박봉술 명창의춘향가는 현재 전승이 끊겨 있었으나, 그의 음원이 음반으로 제작되고, 전남대에 남겨진 소리 전인삼 교수에 의해 복원 연주되면서 활발한 연구가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현존 가장 긴 형태의 중머리 112장단으로 구성된 박봉술의 춘향가를 통해 그의 소리 뿐 아니라 동편제 소리가 지닌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 곡을 분석해 보면 박봉술 이별가의 사설짜임은3음보 4음보의 음보적 규칙을 지킨 사설 뿐 아니라 음보적 특징이 없는사설까지 다양하게 연결해 부른다. 음악적으로 악조는 한곡 안에 평조와계면조를 번갈아 부르고 있다. 가사의 의미에 맞게 춘향이 부르는 소리는계면조, 이도령이 부르는 소리는 평조(경드름)로 구분해 부르고 있다. 발성은 우겨내는 통성 발성으로 힘 있게 소리한다. 장단의 붙임새는 대마디대장단을 주로 사용한다. 2박형과 2·3박형 붙임새를 통해 박진감과 긴장감을 자아낸다. 또한 2박형 내에서도 박마다의 소박을 다양하게 연결해,반복되는 2박형이 줄 수 있는 지루함을 떠나 매 장단이 새로운 느낌을 연출하고 있다. 박봉술은 주로 붙임새 위주로 소리 변화를 추구하며, 시김새를많이 구사하지는 않고 있다. 즉 붙임새를 소리의 기저에 두고 장식적으로시김새를 사용하나, 시김새의 구성과 완성도가 높아 단조로운 느낌을 주는특징을 보인다. 전체적으로 말을 자연스럽게 붙여가는 대마디 대장단 붙임새를 강조하고 있으며, 우겨내는 힘 있는 발성으로 동편제적 변모를 올곧게 지킨 이별가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lyrical and musical characters of the Chunhyang’s Mother Standing Up part of Farewell Song in Chunhyangga of Park Bongsul, the great master of the east school of pansori. Chunhyangga by the master singer Park had not be handed down modern pansori singers. Fortunately, his recording was released an album, professor Jeon Insam restored and announced Park’s old song housed in Jeonnam University. Researches for Park’s Chunhyangga are also under way, and this study considers Park’s song and musical features of the east school pansori through the analysis of his Farewell Song with 112 measures, the longest Farewell Song there is. A look at the epic chant of Farewell Song suggests that lyrics with no meter features as well as lyrics like trimeter or tetrameter connects in various ways. Musically, peongjo alternates with gyemyeonjo in a song. Master singer Park sang Chunhyang’s part with a gyemyeonjo and Lee Mongryong’s part with a peongjo(a gyeongdeureum) considering the sense of the lyrics. And his vocalization was strong tongseong. He mainly used a Daemady Daejangdan and created tension and liveliness by making use of triple time type and two-thirds time type rhythm. In case of the binary time type, a various connection with smaller beats on each time breaks the monotony from the binary time and gives fresh impression. Park pushed changes in the way of using buchimsae mainly, not sigimsae. In other words,his song was based on a buchimsae and added sigimsae decoratively, but the composition and the completeness of his sigimsae were so high that it appeared a monotonous mood. In Park’s Farewell Song, he emphasized a Daemady Daejangdan, rhythm pattern of singing words naturally, and kept the style of the east school pansori using a strong voc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