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에 이뤄진 판소리 관련 연희시는 신위의 「관극절구」12수, 송만재의 「관우희」50수, 윤달선의 「광한루악부」, 이유원의 「관극팔령」과 「영산선성」5수, 이건창의 <작심청가>2수를 꼽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판소리 관련 연희시들의 문화적 맥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9세기에 이르러 연희시는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었는데, 판소리가 그것의 중심으로 자리를 잡았다. 그런데 이들 판소리 관련 연희시를 살펴보면 그 기저에 흐르는 일련의 흐름을 엿볼 수 있었다. 그것은 신위로부터 송만재 ․ 윤달선 ․ 이유원 ․ 이건창으로 이어지는 판소리 관련 연희시의 작자들이 모두 소론계 인물이었다는 점이다. 그것의 중심에는 신위가 있었다. 이들 소론계 문인들은 신위의「관극절구」12수를 전범으로 삼아서 판소리 관련 연희시 문예 양식을 공유하면서 전승시키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 소론계 문인들이 판소리 관련 연희시를 형상화하는 방식은 서로 달랐다. 19세기에 이뤄진 이들 판소리 관련 연희시는 소론계의 문예적 전통과 깊은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소론계 문인들은 사람들의 자연스럽고 진솔한 감정을 중시하고 우리 고유의 민족 정서에 주목하고 있었다. 그것은 소론계 문예 전통의 하나가 되어 우리 고유의 노래를 보존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졌다. 19세기에 소론계 문인들을 중심으로 판소리 관련 연희시들이 집중적으로 나온 것도 바로 그와 같은 문예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한편, 이들 소론계 문인들이 판소리 관련 연희시들을 저술하였던 것은 민속 연희에 대한 가치를 자각하여 적극적으로 보존하려는 문화적 주체의식의 발로로 여겨진다.


This study examined a few characteristics of the succession process of performance poet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in the 19th Century. The performance poetry of Korea flour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various performances, especially Pansori, emerged in the 18th Century. The performance poetry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types: ① performance poetry related to dance, ② performance poetry related to Sotdaenori or Sandaenori with dancing on the rope or a high pole, ③ performance poetry on performers’ vocal performa nce or sentimentality, ④ performance poetry of Pansori and entertainers, and ⑤ performance poetry related to other shamanistic or Buddhist performances. Entering the 19th Century, there is a certain flow in the performance poetry from Wi Shin to Man Jae Song, Dal Sun Yoon, and YooWon Lee. They were the literary scholars from the Soron Sect and shared the literary style of performance poetry to express the various types of contemporary entertainment culture through po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