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Sparassis crispa is an edible mushroom with various medicinal properties. Here we demonstrate theeffect of Sparassis crispa on carbon tetrachloride (CCl4)-induced hepatotoxicity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To evaluate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parassis crispa ethanol extract (SCE), 50 male Sprague-Dawleyrats were equally divided into 5 groups. Group I is the normal control rats with an intraperitoneal (i.p.) 0.5%carboxy methyl cellulose (CMC) pretreatment and olive oil treatment. Group II is the model group with an i.p. 0.5% CMC and 0.5 mL/kg CCl4 treatment. Group III and IV is the CCl4-administered rats pretreated with an i.p. 100 and 200 mg/kg SCE, respectively. Group V includes the silymarin group with an i.p. 50 mg/kg silymarin andCCl4 treatment. At 16 h after the CCl4 treatment, the levels of serum aminotransferases, TNF-α, and lipid peroxidation weresubstantially increased, whereas the activity of hepatic antioxidative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andcatalase, was decreased. These changes were attenuated by SCE. The histological studies also showed that SCEinhibited the CCl4-induced liver injury. Furthermore, the contents of hepatic nitrit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were elevated after CCl4 treatment, while the cytochrome P450 2E1(CYP2E1) expression was suppressed. SCE treatment inhibited the formation of liver nitrite, reduced the overexpressionof iNOS and COX-2 proteins, but restored the liver CYP2E1 content compared with the CCl4-treatedmodel group. The present data elucidate that SCE protects the liver against CCl4-induced acute hepatotoxicity, which mightbe due to its ability to restore the CYP2E1 function and suppress the inflammatory responses, in combination withits capacity to reduce oxidative stress.


꽃송이버섯은 다양한 약리활성을 지닌 식용버섯으로, 한국을 비롯해서 중국과 일본 등지에서 널리 재배된다. 이 논문은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간 독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진은 0.5 mg/kg의 사염화탄소를 6주령 Sprague Dawley 흰쥐의 복강에 투여함으로써 간 독성 모델을유도하였다. 그리고 꽃송이버섯이 간 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이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얻은 다음,간 독성 모델을 유도하기 전에 복강으로 5일 연속 투여하였다. 사염화탄소 투여 후 16시간이 경과했을 때, 흰쥐의 혈장에서 aminotransferase와 TNF-α의 농도 및 지질과산화의 정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아울러 간 내 항산화효소들의 활성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꽃송이버섯의 에탄올 추출물 100, 200 mg/kg을 상기 모델에 전 처리할 경우, 이러한 일련의 변화들이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게다가 조직학적 소견 또한 꽃송이버섯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간 손상 모델에서 보이는 nitrite, inducible nitric oxide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의 증가와 cytochrome p450 2E1 (CYP2E1)의 감소 양상은 꽃송이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으로부터 꽃송이버섯은 사염화탄소에 의한 자극으로부터 간을 보호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효과는꽃송이버섯이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일 뿐 아니라 iNOS와 COX-2에 의한 염증성 반응을 억제하고 CYP2E1의기능을 회복시키기 때문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