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불교의 깨달음은 홀로 지니는 것이 아니다. 초기 불교에서부터 불교의 포교는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하지만 불교의 포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自覺이다. 그리고 그러한 자각은 분명 석가모니의 깨달음과 동일한 것이다. 禪宗도 또한 이러한 자각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특히 석가모니로부터 이어진 깨달음의 역사를 ‘傳燈’으로 표현하며, 선종은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깨달음을 이어왔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깨달음의 계승은 言語文字만을 통해서는 온전히 성취할 수 없다. 부처님의 마음인 佛心에서 契合할 때만 가능한 것이다. 즉 釋迦牟尼와 摩訶迦葉의 ‘拈花微笑’와 德山 宣鑑(780-865)과 香嚴 智閑(?~898) 禪師의 開悟因緣 등은 모두 스승과 제자 사이의 깨달음의 계합을 여실히 보여준다. 한편 이러한 佛心에서의 契合은 스승과 제가가 동시적일 수도 있고, 제자 스스로 깨달은 후 스승을 찾아가 認可를 받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제자가 스승에게 자신의 깨달음을 드러내 보인 시가 바로 呈露偈이며, 또한 이러한 제자를 인가하면서 스승이 지은 시가 바로 傳法偈이다. 즉 제자의 呈露偈는 깨달음의 疏通을 위한 시이고, 스승의 傳法偈는 깨달음의 認可를 위한 시이다. 그리고 이러한 呈露偈와 傳法偈는 韓國 禪詩에서도 나타나는데, 특히 麗末三師인 太古 普愚(1301~1382), 懶翁 慧勤(1320~1376), 白雲 景閑(1299∼1374)의 시에서 잘 구현되었다. 또한 조선 중기의 淸虛 休靜(1520~1604)과 근현대의 큰 선사인 鏡虛 惺牛(1849∼1912)와 그의 제자들 사이에도 이러한 시들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깨달음의 소통과 인가에 대한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소통과 인가가 呈露偈와 傳法偈로 구현되었음을 한국 禪僧의 詩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Enlightenment in Buddhism is not what only the person who understands it has to have to himself. Like other religion, the mission or propagation of Buddhism is very important. However, what is more important than propagation is the enlightenment itself. Such enlightenment is just the same as what Buddha did. Seon also puts top priority on the enlightenment. Especially in Seon, the history of Buddha's enlightenment dating back to Buddha's enlightenment is expressed as 'Inheritance lamp'' and Seon argues that it has been the leader in transmitting the most valuable enlightenment in Buddhism to next generations. This kind of enlightenment tradition cannot be realized through words and letters only. It becomes possible only when peopl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Buddha's mind, which is the mind of Buddha. The word of "Yeomhwamiso(拈花微笑)" well describes on the enlightenment a disciple (Pippalayanagets) and Buddha get when the disciple talks with his teacher Sakaymuni while the word of "Spiritual awakening conditiom as cause(開悟因緣)" also shows a common enlightenment shared by both a teacher Deoksan-seongam(德山 宣鑑, 780-865) and a disciple Hyangeom-jihan(香嚴 智閑, ?~898). The enlightenment could be obtained from a conversation between teacher and a disciple at the same time. Or a disciple got it and then went to his teacher and got approved of it by his teacher afterwards. Meanwhile, the poem "Jeongroge" contains the enlightenment which a disciple expressed his enlightenment to his teacher while the poem "Jeonbeopge" is what the teacher wrote while he approved his disciple’s enlightenment. So to speak, the "Jeongroge" is a poem communicating on the enlightenment while the "Jeonbeopge" is a poem for which the teacher approves the disciple's enlightenment. The poems of "Jeongroge" and "Jeonbeopge" were also well realized in Korean Seon poems. Especially the poems were often quoted by three reputed monks in late ancient Goryo period(麗末 三師) or Taego-bou(太古 普愚,1301~1382), Naong-hyegeun(懶翁 慧勤, 1320~1376) and Baekun-gyeonghan(白雲 景閑, 1299~1374). In addition, the poems above were also quoted by Big Monk of modern times, Gyeong-heoseongu(鏡虛 惺牛, 1849~1921) and his disci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