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크로노토프와 주제의 측면에서 구 유고권 사실주의 문학의 유산을 계승하면서도, 그것과 현격히 대비되는 구 유고권 모더니즘 문학의 특징은 지역 전통문화와 전통사회의 가치관에 대한 재해석이다. 모더니즘 소설가들은 작품 속에서 지역 특유의 토속적 관습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표면화한다는 점에서는 사실주의 작가들과 연계성을 지니지만(구심성), 사회현상의 표층 아래 있는 심층적 차원을 담론화한다는 점에서 탈사실주의적 특징(원심성)을 노출한다. 이런 원심성이 가장 극명하게 표출되는 지점이 전통사회의 하위주체, 특히 여성에 대한 심리주의적 문학담론이다. 예술적 스타일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구 유고권 모더니즘 작가들의 공통점은, 근대초기에 새로이 대두된 전통사회의 위기와 균열을 가족 담론과 여성 담론을 통해서 공론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실주의 문학에서 쓰였던 동일한 크로노토프 모티프가 모더니즘 문학에서는 다른 의미의 크로노토프 모티프로 변형되며, 그 대표적인 예가 구 유고권 모더니즘 작가들의 여성담론과 가족담론에서 부정적인 크로노토프 모티프로 기능하는 전통적인 가부장적 공간인 ‘집(kuća)’이다.


The major point of difference between ex-Yugoslav realist prose and its modernist counterpart consists in the latter's reconsideration of the local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 valuation therein in the western Balkan. While the ex-Yugoslav modernists show nearly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eir former prose writers in the fact that both of them embodied local folkloric habits and its peculiar manners of communication between men and women, they reveal the great distinction from realist writers through making disclosed the depth level of their traditional societies, in which until then have been hidden such problems as the low position of women in society and inter-familial violence against women. Despite the diversities of the artistic styles, the common characteristics among the ex-Yugoslav modernist prose writers are to be found in their ideological approach to the cultural crisis and rupture in the new century of modernity by means of family dicourse, feminine discourse, and literary psychologism.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ses the chronotope motif of ‘kuća’ that is same in shape but different in implication and that functions as important narrative symbol with the negative and positive senses both in realist and modernist proses in ex-Yugoslav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