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러시아어에서는 정보구조와 문장 내 위치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관찰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한 정보구조적 해석이 구체적인 통사적 위치에 결부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문미에 오는 새로운([+new]) 정보에 대해 동사구 위에 투사되는 하위초점을 상정하고 문미선행위치에 오는 [-new] 구성소에 대해 하위초점 위에 투사되는 하위화제를 제안한다. 한정성, 특정성, 총칭성, 또는 이들을 아우르는 담화관련성([+D-linked])의 의미자질과 문미선행위치의 상관관계, 그리고 이러한 의미자질과 정보구조자질 [-new] 간의 함축관계를 고찰할 때, 문미선행위치는 의미자질보다 정보구조자질 [-new]로 더 적절하게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정보구조들은 ‘화제-초점’의 이분법보다 정보구조자질의 조합을 통해 더 정교하고 효과적으로 정의된다. 특히, 화용적으로 새롭게 소개되는 정보([+new])는 하위초점으로, 새로운 것으로 제시되지 않고([-new]) 문장의 주제도 초점도 아니며([-about, -focus]) 대조적 맥락을 지니지 않은([-contrast]) 구성소는 하위화제로 이동하게 된다. 하위정보구조는 정보구조를 유표할 뿐 아니라 구성소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어순의 유연성, EPP 만족 방식 등과 같은 통사적 특징과 매개변인적 인과관계를 지닌다.


In Russian word order reflects information structure (IS), such as Focus and Topic. This paper posits the Low Focus above the vP and the Low Topic above the Low Focus, as concrete syntactic positions comprising IP-internal information structure. These positions are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interpretations of constituents that occupy the final and the penultimate positions in a sentence. Giv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mantic feature [+D-linked] (which encompasses definiteness, specificity, and genericity) and the penultimate position on one hand, and the impli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D-linked] and the IS-feature [-new] on the other, I propose that sentence-internal positions must be defined as [-new]. I further suggest that diverse information structures be defined by different combinations of IS-features [±new], [±focus], [±about], and [±contrast], which appear in a hierarchical relationship. The Low Focus (new information focus) is defined as the most marked IS-component by [+new] at the top of the hierarchy, while the Low Topic appears to be the most unmarked IS-component, being defined as [-new, -about, -focus, -contrast]. The Low Topic and Low Focus do not only encode information structure but appear in a parametric relationship with EPP-checking strategies, as they constrain constituents’ movements to Spec, 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