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기질 환경영향을 기준으로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혹은 조정의 적합성을 각 도시권별로 상호정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해당권역의 대기질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대기영향평가 방법을 모색하였다. 대기영향평가는 대기오염부하가 구체적으로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계획의 대기환경적 영향을 고려한다는 점에서현재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환경영향평가와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조정 계획에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는 것으로, 각 도시권의 현재 대기질을 기준으로 그 지역에 허용할 수 있는 대기질 악화한계를 설정한 후 이로부터 거꾸로 해당지역이 수용할 수 있는 오염물질 배출총량 혹은 오염부하증가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각 도시권의 환경용량을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한데, 현재 사용 가능한 국내 도시권별대기질 현황자료 및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수준에서 모델을 구성하였다. 이 모델을 통해서 도시권 평균오염도와 오염물질 배출량간의 상관관계를 단순화된 형태로 표현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standardized evaluation indices using the environmental effect uponair quality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RDZ removal or boundary adjustment by comparing all the districts with eachother. Methods for appraising the atmospheric effect were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 upon air quality as a result ofRDZ removal or boundary adjustment. This appraisal of atmospheric effec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environmentaleffect appraisal in that it considers the effect of any policy upo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with out precise airpollution capacity. This study targets the environmental effect appraisals for RDZ removal or boundary adjustmentplanning, which does not have a precise determination of land use and therefore, a corresponding increase in pollutionlevel. Therefore, to assess the effect upo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with an unknown load of pollution is the maintask of this study. Consequently, the method of this study follows the entirely opposite process of generalenvironmental effect appraisal. That is, after establishing a deterioration limit of air quality by measuring current airquality and the total amount of exhausted pollutants, the increase of pollution level was estimated. This methodologydemands a model that can help estimate the environmental capacity of the selected area. Also, this model wasdesigned by using all the domestic reports concerning air quality within urban areas, and data of meteorologicalobservations. This model helps simpl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verage pollution level of the urban areas and theamount of air pollution rel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