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범죄가 시·공간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많은 대중매체들은 대다수의 범죄발생이 소수의 상대적으로 소규모인 지역에 집중해 발생하고 특정시간대에 집중한다는 사실을 보도하고 있다. 범죄의 시·공간적 불균등분포는 범죄학자와 도시지리학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으며, 다양한 범죄지도와 공간분석기법의 도움으로 범죄의 시·공간적 분포패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계획지역 내에서의 토지용도별 범죄의 시·공간적 분포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도시(A)와 신도시(B)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범죄다발지점분석과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범죄발생은 토지이용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는 점이다. 둘째, 범죄는 사례지역에서 시·공간적으로 군집하는 패턴을 보였다. 셋째, 필지단위의 공간적 자기상관분석에서 강도와 절도는 매우 군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범죄의 시·공간적 분포패턴 분석결과는 범죄예방을 위한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widely known that crimes are not distributed evenly in time and Space. It has been repeatedly reported that a majority of criminal incidents are concentrated to a few, relatively small areas and/or certain time periods. Such uneven distribution of crime has lead criminologists and urban geographers to look into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crime, with the aid of various kinds of crime maps and analysis metho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within urban planning areas and crime incidents. For this, it performs the case study targeting the existing city (A) and the new town (B) using the GIS methods such as crime hot spot and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es. The analytical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rime incidents are closely related to land use; (2) crimes are clustered spatially and temporally in both sampled areas; and (3) robberies and thefts have a spatial autocorrelation in an analysis on the smallest unit called as parcels. Such results will be used as a basic source of urban planning for preventing cr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