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1992년부터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매주 반복적으로 개최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대상으로 시위 참여자, 행위, 내용과 수요시위 1,000회 개최를 기념하여 건립된 평화비 소녀상을 둘러싼 논란을 살펴봄으로써 소수자 집단이 전개하는 저항의 공간적 실천과 재현의 정치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공간 생산에 관한 Lefebvre의 이론을 차용하여 저항의 공간적 실천, 저항의 공간적 재현, 저항의 재현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수요시위에 내포된 공간성을 도해하였다. 한국정신대대책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시민단체들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시위의 반복 개최를 통해 주한 일본대사관 앞을 전유할 뿐만 아니라 일본군 ‘위안부’ 피해 소녀의 모습을 재현한 동상을 건립함으로써 저항의 공간을 생산하였다. 주한 일본대사관 앞의 평화비 소녀상은 일본 정부에 대한 항거의 상징물로서 인지되어 감정이입의 대상이 되었으며, 소녀상이 한ㆍ일 양국의 민족적 감정 대립과 대응을 불러일으켰다. 이는 저항의 공간으로서 구체적인 이미지가 형성됨으로써 저항의 재현 공간으로 작용하였음을 나타낸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운동은 계속해서 변화하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평가와 시각, 그리고 국제 정치적 역학에 달려있으며, 정체성, 스케일, 장소, 기억의 정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소수자 저항의 공간성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politics of spatial practice and representation by a minority group’s resistance by examining the case of Wednesday demonstrations demanding the resolution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blems which have been periodically held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in Seoul since 1992. It also takes the controversies over the ‘Peace Monument’ set up in front of the Embassy for the 1,000th rally in 2011 into account to comprehend the workings of representational space of resistance. The framework for case analysis is the three aspects of spatial practice, spatial 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al space of resistance, which are partly based upon Lefebvre’s theory on production of social space. Civic groups headed by the Korean Council for the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have been able to appropriate the space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and to turn it into a space of resistance not only by repetitively staging the protests to call for an apology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but also by installing a bronze statue of a young girl that symbolizes the Korean victims. The statue in front of the Embassy has been perceived as a symbol of resistance as well as the object of sympathy, prompting empathetic emotional reac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t indicates that the statue together with the periodic protests have formed the images of spatiality of resistance, which have worked as representational space of resistance. The social movements demanding Japan to redress the ‘comfort women’ problems continue to be affected by the changing perspectives of historical events and international political dynamics. Therefore, more research is needed, from a variety of viewpoints including politics of identity, scale, place, and memory, to further understand the spatiality of minority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