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불교인식론에서 지각은 근본적인 인식수단으로 간주된다. 독특한 개별자(자상)에 대응할 때 우리는 지각적 인식 즉 지각을 갖는다. 그리고 일반화된 이미지에 대응할 때 우리는 추론적 지식 즉 추리를 갖는다. 하나의 지식은 지각적이거나 혹은 추론적이거나 둘 중 하나이다. 그리고 이 두 인식수단의 범위를 넘어서 어떠한 지식도 없다. 따라서 온전한 불교인식론은 이중의 지식이론의 토대에 근거한다. 지각은 순수감각이며 추리는 정신적 구성이다. 이 논문이 목적하는 것은 지각과 추리의 본질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지각과 추리의 본질은 대상인식이 아니라 자기인식이라는 것이다.


In the Buddhist Epistemology perception(pratyakṣa) is regarded as the foundational pramāṇa. Corresponding to the unique particular(svalakṣaṇa) We have perceptual knowledge(percep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generalized image we have inferential knowledge(anumāna). A knowledge is either perceptual or inferential, and there is no knowledge beyond the purview of these two. Thus the entire Buddhist Epistemology is based on the foundations of the theory of twofold knowledge. Perception is pure sensation and Inference is a mental construction. This paper aimed what is nature of perception and inference. Consequently, the nature of perception and inference is not cognition of object but self co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