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희곡에는 극중극(劇中劇)이 있다. 셰익스피어 희곡의 경우, 그것은 두 역할을 한다. 첫째, 반복을 통한 주제 부각의 효과이고 둘째, 마주 보고 있는 두 개의 거울처럼, 두 개의 틀로 관객에게 혼동을 야기하는 것이다. 산스크리트 서사시와 희곡에서도 다양한 극중극이 발견되지만, 철학적 논서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독자에게 혼동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저자가 대론자의 이론을 비판하는 중간에 핵심 주제에서 벗어난 논쟁을 삽입하는 것으로, 논쟁 속의 논쟁(論中論)이라 할 수 있다. 자얀타의 『니야야만자리』의 『니야야수트라』 1.1.10에 대한 주석에서 사용된 열변용(熱變容)과 관련된 논쟁도 논중론의 일종이다. 그는 신체가 욕구 등의 기체라는 차르바카의 주장을 논파하기 위해 열변용 이론을 사용하면서, 열변용과 관련된 두 이론(피루와 피타라) 사이의 논쟁을 소개한다. 그의 주석에서 열변용 이론 부분은 “① 신체의 소멸을 주장하는 제1단계 논증 → ② 열변용 논쟁 I → ③ 신체의 소멸을 주장하는 제2단계 논증 → ④ 열변용 논쟁 II → ⑤ 신체의 소멸을 주장하는 제3단계 논증”으로 도식화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도식에서 ②와 ④를 제외한 “① 제1단계 논증 → ③ 제2단계 논증 → ⑤ 제3단계 논증” 만을 연결해서 읽어도 논증의 내용은 크게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②와 ④는 분량 상으로 전체 논증의 반 정도를 차지하지만, 내용상 주제 논쟁에서 벗어난 부연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열변용과 관련된 피루와 피타라 이론에 대한 학술정보를 제공해주는 순기능도 갖지만, 난해하고 복잡한 이론 소개는 논리학에 정통하지 않은 독자를 당혹하게 만드는 역기능도 지닌다. 따라서 열변용과 관련된 논쟁은 셰익스피어의 극중극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논중론(論中論)이라고 할 수 있다.


There is a kind of technique which is called “a play within a play” in drama. In the case of Shakespeare's drama, it takes a dual role. The first is the effect of highlighting the subject through the repetition, the second is to cause confusion to the audience because of a double structure. There are many kinds of “a play within a play” in Sanskrit literature. Although the epics, such as Mahābhārata and Rāmāyaṇa, are could be the typical cases where the technique is applied, but philosophical books and commentaries in Sanskrit literature also have such methods of narration which could be a source of confusion in a similar way. It inserts another debate, during the main debate with a disputant. We could call it “the debate within a debate.” It could be used to boast a scholarly attainment of the author, or to introduce a variety of scholarly information kindly. However, anyway it is the cause of suffering to readers. The debate which is related with pākajotpatti(qualitative change under the influence of heat) in Nyāyamañjarī ad Nyāyasūtra 1.1.10 is also a kind of “a debate within a debate.” Jayanta tried to bring forward a counter-argument to Cārvāka who argues that Manas is the property of the body. So he used the pākajotpattivāda to win the debate. In the process, he introduced two kinds of pākajotpattivāda(pīlupākavāda and piṭharapākavāda) by the format of a debate. But even if he choose either pīlu or piṭhara, the author’s arguments that a body is not the base substance of Manas would be established. Therefore this debate takes dual role as a “a play within a play” in Shakespeare's dra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