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칸트 윤리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은 “배려의 윤리”의 등장과 함께 본격화되었다. 배려의 윤리학자들에 따르면 전통적인 윤리학의 남성중심주의를 비판하고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윤리학을 새롭게 재조명하는 일은 무엇보다 여성 고유의 도덕적 경험에 대한 가치부여와 함께 시작된다. 예를 들어 여성의 관계중심적인 사고는 자율성과 개인의 권리 중심적 사고가 빠지기 쉬운 도덕적 함정에서 벗어나게 해주며 배려, 연민, 사랑과 인내와 같은 여성적 덕은 이성중심적 법칙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준다는 주장들이다. 그러나 여성 고유의 도덕경험이라는 것이 가부장 사회에서 소외되고 종속된 여성적 삶의 반영이라면 오히려 그러한 도덕경험에서 벗어나는 것이 여성주의의 목표가 되는 것은 아닐까? 이 논문은 여성주의 윤리학의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관련하여 과연 관계지향성이나 여성적인 덕스러움이 여성주의의 이념적 목표에 기여하고 여성주의 윤리학을 발전시키는 이론적 출발점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쓰여졌다. 칸트 윤리학은 남성중심적 가치관에 입각한 전형적인 도덕철학으로 평가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여성주의자들의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특히 여성은 도덕과 법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보았던 그의 성차별적 인식을 배경으로 할 때, 이성중심주의와 자율성에 대한 칸트의 강조는 여성의 도덕경험을 평가절하하고 여성을 가부장적 질서 하에 종속된 존재로서만 이해했던 결과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논문은 여성주의적 관점과 칸트 윤리학이라는 대척점에 서서 자율성과 이성중심주의를 논의하면서 칸트 윤리학의 여성주의적 적용의 가능성을 묻고자 쓰였다. 많은 여성주의자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칸트 윤리학은 여전히 여성주의 윤리학의 이론적 정초가 될 수 있다는 입장에서 논점을 구성하고 있다.


When the central concepts of philosophy-reason and justice-are associated with traits historically identified with masculinity, women are omitted from the cannons of philosophy. Feminist philosophers have begun to look critically at the canonized texts of philosophy and have concluded that the discourses of philosophy are not gender-neutral. Feminist debates about an “ethics of care” were inspired originally by Carol Gilligan's book, In a different Voice, published in 1982. It has served as a vehicle to criticise prevailing conceptions of individual in Western moral philosophy, which views the autonomous self as disembedded and disembodied. Kant has been an obvious figure for debate in the midst of this contemporary feminist interest in ethics. Given Kant's explicit endorsement of the subordination of wives to their husbands, and the exclusion of women from intellectual or political rights, it is no surprise that many feminists consider Kant to be an exemplar of philosophical sexism. Here the tensions between Kantian ethics and feminist moral theory are mutual. Although there is no one way of reading Kant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y are nonetheless certain features by which one could distinguish “feminist” readings. Some feminist argue that Kant is a preeminent exponent of patriarchal views, and that gender hierarchies are inscribed in the very structure of his theories of morality. Other contributors view Kant as having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ories of autonomy and rationality in ways that can further feminist projects. I am positioned again sympathetically in relation to Kant's philosophy that appropriates the tools for feminist purposes. I seek to redefine the ground on which a sympathetic dialogue can take place between Kant and femi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