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우리의 화두가 되고 있는 ‘철학의 위기’는 ‘아카데미즘 철학’의 위기일 뿐이다. 우리가 철학교육의 위기를 맞게 된 원인을 제도권 교육에서만 찾을 것이 아니라, 보통사람들이 철학에 대해 전혀 모르거나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데서도 찾아야 한다. 러셀의 주장처럼 철학의 유용성은 철학을 직접 배운 사람만이 터득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대중들이 철학을 접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제도권 안팎에서 그들에게 철학교육을 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대중을 위한 철학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철학의 대중화, 대중의 철학화”를 꿈꾸는 철학자들, 나아가 대학 안팍의 철학 관련 기관에 그 활동 영역 내지 분야 등 정보를 제공하여 철학의 대중화를 시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몇 가지 대표적인 선행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우선 제도권 밖에서 철학아카데미의 운영현황(제2장), 다음으로 계명대학교의 ‘목요철학세미나’의 주제 현황(제3장), 연세대학교 철학연구소의 ‘서산철학강좌’ 개설 현황(제4장)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제주대학교 철학과의 ‘미네르바의 향연’ 소개(제5장), 지속적으로 청소년 철학교실을 열고, 지역행정기관의 재정지원으로 논술교실을 운영하는 울산대학교 철학과의 사례(제6장)를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의 웹진 ‘ⓔ 시대와 철학’도 소개하였다(제7장). 이러한 대중 철학교육의 사례는 아직 초보단계에 있으며, 이들 사례에 나타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대중 철학교육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대중 철학교육은 오늘 철학하기를 힘쓰는 우리들에게 주어진 책무이다. 우리는 대중 철학교육을 통해 우리 사회가 선진화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This essay i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philosophy-education for the citizens. First I analyzed the 11-year curricula of ‘Academy of Philosophy’, 30-year topics of ‘Thursday Philosophy Seminar' of Keimyung MokChul Research Center, 5-year topics of ‘Seosan Philosophy Lecture’ of Yonsei Philosophy Research Center, some programs of Jeju National University's 11-year Minerva's Feasts, some programs of University of Ulsan's Philosophy Class and Nonsul(Philosophical Writing) Clas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activities of ⓔ Times and Philosophy. The curricula, topics and programs contain not only traditional fields: Logic, Epistemology, Metaphysics, Ethics and the History of (East/Western) Philosophy, Philosophy of Science, Philosophy of Religion, Social Philosophy, Philosophy of Language, but also present-day special fields: Biomedical Ethics, Philosophy of Feminism, Philosophy of Culture, Philosophy of Film, Sex and Philosophy, and Client Philosophy. Utility does not belong to philosophy. It must be only indirectly, through its effects upon the lives of those who study it. Philosophieren enhances our rationality in doing anything in our daily life. Those who truly assimilate any subject find themselves changed in significant ways at the end of their philosophy course. They desire to philosophize, to clarify and criticize basic assumptions in all fields, to free themselves from conventional pictures of reality by constructing new ones and defending them by arguments. These days most Korean citizens do not know the importance of philosophy education. They did not learn philosophy during their school days. We philosophers, retired or not, should provide them the opportunity to learn philosophy. As popularization of philosophy is needed, we should participate in the extra-curricula activities for the citiz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