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가족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를 구분 짓는 핵심 범주는 무엇보다도 가족의 구성형태라고 할 수 있다. 서양의 근대 가족은 부모와 자식들로 이루어진 핵가족 형태가 일반적이며 가족 외부와의 경계가 분명했던 데 비해, 현대에는 이러한 핵가족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동시에 존재함으로써 가족 간의 경계 또한 불투명하다. 이와 관련하여 기든스는 근대 이후 가족의 역할에 공동의 거주나 경제적 협동, 혈연적 결속 보다는 가족 상호적인 정서적 교감이나 친밀성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으며 따라서 현대의 가족의 다양화는 친밀함을 추구하는 방식의 다양화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본다. 즉 “가족의 본질이 혈연을 중시하는 혈연 공동체에서 관계를 중시하는 정서공동체”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다양한 형태로의 현대 가족의 변화가 가족의 해체라기보다는, 가족에 대한 근대성의 원리의 당연한 귀결임을 나타내 보이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근대성의 원리와의 연관성 속에서 근대적 핵가족이 지닌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전형화 된 가부장적 핵가족에 내재해 있는 억압적 요소를 해부하고, 이러한 근대적 가족을 철학적으로 정당화 한 헤겔 가족이론을 살펴봄으로써 헤겔의 가족 이론 속에 나타난 근대적 가족이념이 지니고 있는 의미와 한계를 재조명해 보았다.


Für die Familie stellt die Form ihrer Zusammensetzung die grundlegende Kategorie dar, durch die sich die Moderne und die Gegenwart unterscheiden. Bei der Familie der okzidentalen Moderne handelt es sich allgemein um die Form der Kernfamilie, welche aus den Eltern und Kindern besteht und sich nach außen relativ deutlich abgrenzt. In der Gegenwart existieren neben dieser Kernfamilie gleichzeitig verschiedene Familienformen mit unterschiedlichen Zusammensetzungen, wodurch die Grenze zwischen Familien auch undeutlich wird. Diese Ausdifferenzierung der Familienformen in der Gegenwart ist nicht als Auflösung der Familie, sondern vielmehr als eine natürliche Konsequenz des Prinzips der Moderne in Bezug auf die Familie zu verstehen. Die vorliegende Arbeit setzt sich mit der Grenze der Idee der modernen Kernfamilie auseinander, indem sie die Familientheorie von Hegel kritisch überprüft, welche versucht hat, die moderne Kernfamilie philosophisch zu rechtfertigen. Anschließend geht sie der Frage nach, wie sich das der Moderne immanente Recht der Besonderheit und Prinzip der Mannigfaltigkeit in den Familienformen der Gegenwart widerspiegel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