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아담 스미스는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자유롭게 추구할 때,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세계는 질서를 유지하면서 진보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아담 스미스가 이기심이 공공의 이익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 조건이 무엇인가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곧 아담 스미스의 『도덕감정론』과 『국부론』을 ‘도덕 감정’과 ‘이기심’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함으로써, ‘이기심’에 기초한 자유 시장 경제의 도덕적인 전제 조건이 무엇인가를 밝혀보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 조건을 밝힘으로써 아담 스미스에 대한 일반적 인식 곧 그는 ‘보이지 않는 손’에 모든 것을 맡긴 자유방임주의자라는 인식은 잘못된 것임이 밝혀지게 될 것이다. 아담 스미스는 ‘공정한 관찰자’의 역할, 자유 경쟁, 정의를 통해서 개인의 이기심이 통제되는 경우에 한해서만 개인의 이기심은 공공의 이익을 산출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 논문은 아담 스미스가 ‘자유방임주의자’, ‘윤리 없는 경제’, ‘약자 소외론’, ‘냉혈한 경제적 합리주의자’라는 일반적 인식을 교정하게 될 것이다.


It is frequently believed that Adam Smith defended the idea of a free economy, or free markets, in his book The Wealth of Nations. According to Smith, economic liberty guaranteed economic progress. Adam Smith argued that if individuals freely followed their own self-interest, the world would be an orderly and progressive place. Adam Smith claimed that government need not interfere with the economy. Smith thought, social harmony would result by ‘an invisible hand’ without any government direction. This paper presents that Adam Smith is not the individualist, an egoist or follower of a ‘night watchman’ theory of the state through a theoretical elaboration of the ethical framework of Adam Smith. He claimed that under free competition the individual’s self-interest should be controlled by their moral sentiments including impartial spectator and justice. The popular interpretations of Smith that he was an extreme dogmatic defender of laissez-faire capitalism is errone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