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도시에 대한 사유의 폭을 확장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에 와서이다. 도시에 대한 연구는 공학적 측면에서 사람들에게 이상적인 도시 건설 및 개발에 집중하였고 도시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양상 해왔다. 그 이론들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다른 측면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들이 안락하고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기술적 접근들이었다. 이 논문에서 언급되는 19세기 도시 이론들 역시 그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였고 그것은 이상적인 도시 유형으로 지금까지 연구 대상이자 하나의 패러다임으로서 숙고되고 있다. 그렇지만 오늘날까지 도시에 대한 중요 연구 성과로 주목할 수 있는 이러한 관점은 공학적인 부분 에 제한되어 있고 그들이 제시하고 있는 이상적인 도시라는 것도 그러한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와 같은 관점에서 시도되었던 도시 계획을 벗어나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서 도시계획이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19세기에서 20세기 초 도시계획에 대한 이론들이 쏟아져 나왔던 당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 1834-1896)의 이론을 동시대적 관점에서 재고찰하고 그의 이론으로부터 도시 인문학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그는 인문학적 관점에서 도시를 바라보고 당시 도시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식을 미학적 관점에서 전개하고 있다. 다른 이론가들이 도시 근교에 이상적인 위성도시를 건설하고 이것을 도시문제의 해결책으로 소개할 때 그는 도시 안에서의 작은 실천들을 통해서 도시경관과 도시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을 고려한 미적인 변화를 주장했다. 오늘날에 도시경관의 미적 경험이 곧 삶의 질로 평가되는 동시대적 삶에서 모리스가 주장하고 있는 가든 시티는 도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열어줄 것으로 생각된다.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thoughts of the city started to expand widely. The study of the city wa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ideal city to people on the engineering aspects. As a result, various theories for the city were produced from the 20th century. The theories have slightly different aspects with the times but it is necessary to access for cosy and comfortable living. The city theories of the 19th century referred in this paper was started with those aspects. It has been considered the subjects of study and model of new paradigm with the ideal city type. Nevertheless, the important study about the city is limited to the part of engineering and the ideal city is focused on it. In this paper, I want to consider the urban planning through Humanistic thinking. Many theories had been produced from 19th and 20th century. And, I think that the theories is based on the engineering thinking. At that time, the theories of William Morris was not paid attention to the public. Contemporary other theorists thought the construction of the ideal satellite city as this solution to urban problems. But, he thought the city as an aesthetic point of view. He tried to solve the urban problems from an aesthetic standpoint. As a result, he presented the Garden City that was combined of the city and Garden. The Garden City is the extended concept of the garden. This concep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urban landscape and consider the quality of life to the people who live in the city. So, his theories are worth reconsidering with a modern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