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大學』에 대한 茶山의 저술은 『熙政堂大學講議』와 『大學公議』의 두 책이 있다. 다산이 28세에 급제하여 희정당에서 정조임금과 함께 주어진 과제에 대한 다산 자신의 강론을 모아서 엮은 책이 『대학강의』이고, 『대학공의』는 다산이 귀양중인 강진에서 53세에 완성한 책이다. 그러므로 『대학공의』는 『대학강의』보다 더 세밀한 다산의 생각이 깃들어 있는 책이요 『대학』의 주석서에 해당하는 책이라 할 수 있다. 다산은 바로 이 두 저술을 통해서 자신의 『대학』관을 나타내고 있다. 다산의 『대학』관은 朱子와는 달리 실천윤리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는 大學經文에 근거하여 明德을 孝·弟·慈로 해석하여 명명덕을 효·제·자의 인륜을 밝히는 것으로 보았고 親民 또한 孝·弟·慈에 근거해야 한다고 했던 것이다. 그리고 止於至善을 至善에 머무르는 것으로 보아 “지선이란 인륜관계에서 이루어진 德이며 誠이 이르는 곳이니 이 밖에 지선이란 없다.”고 하여 마땅히 머물러야 할 최상의 경지를 말하며, 그리고 ‘지어지선’은 自修이지 治人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즉 스스로 자신을 닦아 군자의 인품을 이루어 백성이 그 인품을 우러러 보고 감화를 받아 스스로 본받게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다산은 먼저 治者 자신이 自修를 통하여 효·제·자의 지선에 이르러야만 비로소 백성들도 그에 따라 저절로 효·제·자의 道를 일으켜 지선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결국 다산은 至善을 人倫道의 지선으로, 또 인간관계에 있어서 옳은 행동을 至誠으로 실천하는 규범으로 이해했던 것이다. 따라서 다산은 『대학』 書를 주자처럼 형이상학적 심성론적으로 해석하지 않고 대학經文의 참뜻에 부합되는 한편의 실천윤리로 해석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끝으로 다산은 『대학』과 『중용』을 別冊으로 보지 않고 하나의 道로 일관하는 책으로 보았다. 즉 『대학』과 『중용』은 다같이 誠에서 출발하여 대학은 治平으로 끝맺고 중용은 知天을 통해 愼獨으로 나아간 것이다. 그러므로 두 책을 합하면 완전한 修己治人의 책이 된다. 따라서 다산에게 있어서 『대학』과 『중용』은 수기치인의 內外관계에 대한 가르침을 주는 實踐書 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was intended to study on Dasan’s view-point of 『The Great Learning』 which was one of the sacred books in ancient China. The writings of Dasan for The Great Learning was two books named 『The Great Learning Lectures(大學講議)』 and 『The unbiased view of The Great Learning(大學公議)』.『The unbiased view of The Great Learning』 contains a more detailed ideas than 『The Great Learning Lectures』 and can be called the commentary book of 『The Great Learning』. Dasan’s view-point of『The Great Learning』 appears ethical practices that is calling on opposite view in Juja(朱子). He interpreted Myeongdeok(明德) in『The Great Learning』 scriptures as Hyo(孝)·Je(弟)·Ja(慈) and saw Myeongmyeongdeok(明明德) to illuminate the morality of Hyo·Je·Ja and Chinmin(親民) also to have base on Hyo·Je·Ja. And he insists that Jiseon(至善) is the best virtue made in the practice of huma nrelationship and the only place that Seong(誠) should be remained in. Hence Jiujiseon(止於至善) means highest state that Jiseon should be stayed in, and it is not made of ruling a person, but self-study. Namely if a ruller in morality has done his best self-discipline, the subjects themselves would have tried to imitate the ruller’s morality. Therefore Dasan insists that a ruller himself does his best moral discipline first of all and the subjects themselves afterwards, and did not interpret『The Great Learning』 as a holistic metaphysical mentality, but the book of ruling the subjects with morality. Finally Dasan regarded the book of『The Great Learning』 and the book of『The Doctrine of the Mean』 as one book which is penetrated by one way, that is, by Seong(誠). In two books Seong(誠) means the will of Heaven and the true heart in human mind, and also knows Heaven’s teaching, namely, Jicheon(知天). Therefore Heaven and human go through one way in moral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