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퍼트남과 버지가 제안한 의미론적 외재주의를 검토하면서 그것의 한계를 고찰한다. 외재주의에 관한 찬반 논쟁에는 ‘개념’과 ‘의미’라는 개념을 바라보는 상이한 관점들이 개입하며, 이런 상황의 배경에는 의미라는 개념의 원초적 애매성이 놓여있다. 이 논문은 이 애매성의 분석을 토대로 기존 의미론의 두 기본 가정이 양립 불가능하다는 퍼트남의 주장을 비판한다. 개념과 실재 세계의 참된 대응 관계에 대한 신념에 기초한 퍼트남의 외재주의는 이 관계의 확인과 관련된 인식적 권위의 기제로 사회 차원의 언어적 분업을 지적하는데, 버지의 외재주의는 의미의 이런 사회적 차원에 주목함으로써 퍼트남과 다른 초점을 지닌 외재주의를 제시한다. 버지는 언어 표현의 의미를 확정하는 권한이 사회에, 특히 해당 개념에 대한 전문성을 지닌 전문가 공동체에 있다고 보았다. 버지의 주장을 그 선행 연구라고 할 쿤의 과학론과 연결함으로써 우리는 외재성의 기반이 생성과 변동의 과정을 겪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퍼트남과 버지가 구상한 외재주의의 취지와 잘 어울리지 않는 결론이다. 결국 외재주의 의미론은 언어에 관한 이념적-규범적 관점으로서 의의를 지니지만 언어 현상에 대한 포괄적 설명의 틀로서는 부적합하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Where is the meaning of a concept? Is it in the head of the language user thinking and talking about it, or does its locus extend over the boundary of individual mind to the world, or to society? This paper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semantic externalism suggested by Hilary Putnam and Tyler Burge. By analyzing the ambiguity of the notion of meaning that pervades wide range of discussions pro and contra externalism I show that Putnam's critique of the traditional semantics that its two basic assumptions be mutually incompatible loses its bite. Burge's externalist investigation concentrates on the source of epistemic authority concerning the meaning of a concept, which is not individual mind, but the relevant scientific community. His externalism turns out to stand on ever-shaky foundation, however, when we consider the dynamics of scientific change Thomas Kuhn analyzed. Both the Putnamian and Burgean versions of semantic externalism prove to be inadequate schemes for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 linguistic phenomena in reality, though they would maintain philosophical significance as normative claims about seman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