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시각중복장애학생은 시각장애 학교의 주요 교육 수요자가 되고 있어 효과적인 교육 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기능의 중요도와 적용정도에 대한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 및 효과적인 교육과정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우선적으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평가, 교육과 교수전략(학습환경), 교육과 교수전략(교육과정), 진로지도와 상담, 행정과 감독,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의 6개 영역으로 구성된 시각중복장애학생의 교사 역할과 기능 목록을 만들었다. 다음으로 시각 중복장애 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시각장애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역할과 기능의 중요성과 현재 한국 교육 현장에서 실제 적용되고 있는 정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영역별 중요도는 행정과 감독영역은 보통 수준이었으나 나머지 영역에서 모두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고, 학교 현장에서 실제 적용 정도는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보통 수준으로 나오면서 전 영역에서 중요도와 적용 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방안으로는 장애 정보와 교수 기법에 대한 강좌 및 정기 연수 실시, 교육 관련 분야에서 자문 지원 체제 구축 등이 제안되었다. 또한 효과적인 시각중복장애 교육과정 운영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교사 당 학생 수 조정, 학교 내 전문 인력 배치, 교육과정 영역별 교육 시설 마련,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전문 교사 연수 실시 등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시각중복장애 교육 정책 수립에 책임이 있는 정책가와 권익 옹호자 그리고 시각중복장애학생의 교사 자질 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현장 전문가들에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important role and function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also have additional disabilities and explore developmental solutions for improv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06 teachers(36 males, 70 females) working in schools for the blind in Korea. The Role and Function list consists of 47 items grouped into the following six factors: (a) assessment and evaluation, (b) educational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learning environment, (c) educational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adapting the curriculum, (d) guidance and counseling, (e)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and (f) school community relations. Each item of the list was evaluated with a five-point Likert-scale. As a result, each role or function in the six factors was identified as critical to the provision of the best possible services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also have additional disabilities. Regarding desirable solutions for improv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need the best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e and effectiv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ssentially used to develop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in-service training for professionals working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have additional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