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수법의 측면에서 멘토링 모형의 한 축을 구성하는 ‘수퍼바이저’ 역할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즉, 교수법의 차이가 동일 이론 습득에 대한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측면에서 강의식 수업과 현장관찰실습식 수업을 이수한 집단의 교수-학습 양상을 양적 및 질적으로 비교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2학년으로 하였으며 강의수강 집단(N=34)은 2007년 2학기에, 관찰실습 집단(N=30)은 2008년 1학기에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관찰실습 집단의 지도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작성하여 제출하는 아동행동관찰일지에 기록된 특수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행동수정이론에 기초한 중재계획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강의수강 집단의 지도는 교재를 중심으로 한 이론수업과 행동수정이론의 내면화를 위한 소설분석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두 집단의 행동수정이론에 대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는 평가도구는 지필식 8문항으로 동일한 문제였다. 영역별 점수를 측정변인으로 한 양적 분석 결과, 강의수강 집단이 학업성취에 있어서 현장관찰실습 집단보다 우위를 보인 영역은 ‘이론적 지식’이며, ‘중재계획 능력’과 ‘정의이해 능력’에서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는 동일하였다. 또한 각 집단의 평균을 기준으로 학업 성취도 상, 중, 하의 세 하위 집단으로 나눈 뒤, 평가 영역별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중재전략 계획 능력에 있어서는, 현장관찰실습식 수업을 이수한 집단의 ‘중’ 하위집단이, 강의식 수업을 이수한 집단의 ‘중’ 하위집단보다 우수함을 발견하였다. 한편, 논술식 답안을 요구한 ‘중재계획 능력’ 평가 문항의 답안을 질적 분석한 결과, ‘현장’ 속에서 중재전략을 세우게 될 때 더욱 아동중심의 전략적 접근을 하게 된다는 가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퍼바이저제도의 효과성뿐만 아니라 현장 관찰 실습 교과의 효과성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supervisor system in mentoring model by measuring students' achievement on behavior modification theory taught by different teaching methods: one by theorerical course(Class group), the other by practicum course(Practicum group). It was hypothesized that Class group is better than Practicum group in terms of Paper-and Pencil test. Paper-and-Pencil test is oftenly used in colleage to assess knowledge, or skill qualification. Class group(N=30) was taught the behavior modification theory by going over a textbook and activities in pseudo-class condition. Practicum group(N=34) was taught the same theory by taking supervision of their own reports on 'what is the problem and how to help the students in need in class'. The reports should be submitted once a week for 10 weeks after completion of their training at their assigned schools. Paper-and-Pencil test was developed for a total of eight test items, which were sub categorized into three: knowledge, planning strategy, understanding of definition. Mean of each category of both groups entered into repeated measure ANOVA to see the differences of the achievement between groups. The answer of one question designed for an essay response format to measure the competencies of planing strategy was analyzed using KJ method(Kawakita, 1967). Results revealed that Practicum group was as good as Class group at the planning strategy and understanding of definition category. Moreover, results suggested that the training experience help student-teachers take children-oriented approuch in planning strategy to help the children in n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