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지체·뇌병변장애인의 컴퓨터입력 보조기기 사용능력 평가문항의 요인구조 탐색․확인과정을 거쳐 요인구조와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8개 광역시도 지역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와 보조공학 기관·기업의 재활공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목적표집을 통해 203명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서비스 대상자의 장애유형을 고려하여 108명을 연구 대상자로 최종 선정,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뇌병변장애인의 컴퓨터입력 보조기기 사용능력 평가 척도는 윈도우 환경조정 평가, 커서 이동 기능 평가, 입력기기 기초기능 평가, 대체 마우스․입력기기 유형 평가, 대체 키보드·입력기기 유형 평가, 화면입력 기능 평가, 스위치 작동 기능 평가 영역의 39개 변수로 구성된 평가문항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확인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중증 지체·뇌병변장애인의 컴퓨터입력 보조기기 사용능력 평가 모형의 잠재변수와 관측변수 간에 유의한 인과 관계가 있었다. 셋째, 지체·뇌병변장애인의 컴퓨터입력 보조기기 사용능력 평가 모형의 신뢰도는 모든 영역에 대해 단일 차원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Screening Index on Assistive Devices of Computer Input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ACIP)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odel fit test with SAS 9.2 and LISREL8.52. To do so, 108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s, majoring in rehabilitation technology, in institutions and companie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in 8 metropolitan areas were selected purposively.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a) SACIP has 39 items in all from the 7 areas of Screening Windows Adjustment Skills, Screening Cursor Movement Skills, Screening Input Device Operation Skills, Screening Types of Alternative Mice and Input Devices, Screening Types of Alternative Keyboards and Input Devices, Screening Monitor Input Skills, and Screening Switch Operation Skills. The-goodness-of-fit was verifi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 The latent variables and observed variables of a single model for SACIP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c) SACIP has statistically solid reliabilities and valid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