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 장애학생의 학교급별 통합교육 역사를 볼 때, 가장 긴 역사를 지닌 초등 통합교육에 대해 이제는 그 질에 대해 점검하고 새로운 도약과 미래 발전을 위한 구체적 방향성과 과제를 판별할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 통합교육 실행을 점검해볼 수 있는 구체적인 질적 기준을 전국적으로 타당화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질적 지표의 종합적 목록으로 ‘초등 통합교육 질 지표’를 개발하고, 질 지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초등 통합교육과 관련해 5종류 전문가 집단으로 특수교사, 통합학급교사(일반교사), 학교관리자, 장학사 및 대학교수로 구성된 총 216명이 전국적으로 목적표집되어 “초등 통합교육 질 지표 타당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7가지 하위영역의 55개 질 지표는 모두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 지표의 7가지 하위영역은: 학교관리자, 특수교사, 통합학급 교사, 학부모, 학생, 지원인력, 그리고 학교환경 및 자원으로 구성되었다. 통합교육 질 지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7가지 방안에 대해 총 24명의 특수교사, 통합학급 교사, 학교관리자, 장학사, 대학 교수가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각 방안의 활용도에 대한 평정을 하였다. 그 결과 7가지 방안의 활용도가 모두 높았고 가장 높게 평정된 활용방안은 ‘통합교육 관련 인사들 각자의 역할 인식 명료화’였다. 또한 일선 통합학교에서 본 지표를 실제로 활용 시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초등 통합교육을 어떻게 실행하는 것이 최선의 실제인가?’에 대한 하나의 핵심적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통합교육 질 제고의 촉진에 기여하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통합교육 질 지표’를 개발해 제시하는 첫 연구로써 교육현장의 통합교육 실제를 평가하는 한 계기를 마련하고,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진전 역사에서 통합교육 실제를 평가한다는 한 장을 새롭게 여는 의미가 있으며, 통합교육 평가라는 주제에 대해 많은 후속연구를 촉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quality indicators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and to present the uses of the quality indicators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Nationwide 216 professionals from five different group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who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criteria responded to the survey called “Validation of the quality indicators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The response data of the total of 216 professionals showed that 55 indicators of seven areas of the quality indicators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were all valid and the mean validity of each indicator did not vary much in the seven areas and in five different groups. Twenty-four experts on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answered the questionnaires on the frequency of seven distinct uses of the quality indicators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in two rounds by a delphi method. The mean and mode scores of the twenty-four experts' rating on the frequency of all seven uses of the indicators were very high. The usefulness of the quality indicators was evaluated and confirmed by the experts. The seven distinct uses were priotized according to the mean of the two rounds. The highest rated one was the use for clarifying the roles of various professional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core and comprehensive standard on the best practice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which can be used for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inlusive education and to ultimately contribute to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in Korea.